지난달 서울 아파트 3.3㎡당 매매 가격이 6개월 만에 4000만원대 아래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4분기 대출 규제와 정국 혼란으로 매수 심리가 얼어붙어 매매가 저가 매물 위주로 진행된 영향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17일 직방이 국토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1월 서울 아파트 3.3㎡당 매매 가격은 전월 대비 5.2% 하락한 3996만원이었다. 3.3㎡당 가격이 3000만원대를 기록한 건 작년 7월 3987만원 이후 6개월 만이다. 8월 4011만원, 9월 4033만원 등 12월까지 상승했다가 지난달 하락으로 전환했다.
서초구가 12.6%로 하락 폭이 가장 컸다. 1월 7639만원으로 전월(8742만원) 대비 1100만원가량 하락했다. 서초구의 1월 거래량도 87건으로 전월(146건) 대비 40%가량 감소했다. 래미안원베일리 등 고가 단지 거래 비율이 줄어 평균 거래 가격도 낮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1월 서초구의 15억원 초과 매매 거래 비율은 74.7%로 지난해 12월(83.6%)보다 8.9%포인트 떨어졌다.
이어 강북구 -5.9%, 관악구 -5.6%, 은평구 -4.3%, 강서구 -3.7% 순으로 많이 하락했다. 강북구는 전용 85㎡ 이하 소규모 단지 저가 매물이 많이 거래돼 매매가가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평균 매매 거래 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은 종로구로 31% 올랐다. 종로구는 거래는 많지 않았지만 경희궁자이3단지 전용 59㎡가 18억 1500만원에 신고가로 거래된 영향이 컸다.
이어 서대문구 10.7%, 영등포구 6.3%, 용산구 5.8% 순으로 상승 폭이 컸다. 서대문구도 e편한세상신촌, 신촌푸르지오 전용 59㎡가 13억 5000만원~15억 4500만원에 거래돼 평균 매매가를 끌어올렸다.
면적별로는 전용 85㎡ 초과의 면적 구간 가격 하락 폭이 가장 컸다. 1월 이 구간 평균 매매 가격은 5068만원으로 전월(5389만원)보다 6% 낮았다. 환금성, 구입자금, 유지관리비 부담 등으로 중대형 면적대 수요가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매수 심리가 얼어붙어 거래량도 하락세가 이어진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1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2788건(17일 기준)으로, 작년 2월(2714건) 이후 가장 적었다.
직방은 “오는 7월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3단계가 시행될 예정이어서 당분간 이와 같은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서울시가 잠실, 삼성, 대치, 청담 일대 대부분의 단지를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함에 따라 고가 거래가 발생해 2월 매매 거래 가격이 반등할 가능성이 있지만, 전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