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내륙기지 후보지에 도착한 극지연구소 'K-루트' 탐사대./극지연구소 제공

극지연구소 K-루트 탐사대가 지난해 12월 31일 남극내륙기지 후보지에 도착했다고 2일 밝혔다. 지난해 11월 16일 남극장보고과학기지를 출발한 지 46일 만에 도착한 것이다. 이번 탐사로 인해 남극내륙기지 건설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K-루트는 한국이 남극 내륙에서 연구, 보급 활동을 등을 위해 개척하는 육상루트를 의미한다. 한국은 ‘제1차 극지활동 진흥 기본계획’에 따라 2032년까지 세계에서 6번째로 남극내륙기지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비행기로 물자를 보급하면 기상과 비용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남극내륙기지를 건설하고 운영하는 데 있어서 육상루트가 필수적이다.

남극내륙기지 후보지는 남위 76도 11분 동경 117도 36분에 위치하고 있다. 250~300km 떨어진 곳에 프랑스와 이탈리아가 공동 운영하는 콩코르디아 기지와 러시아 보스톡 기지가 있다. 이 지역 빙하 두께는 최소 3200m 이상이어서 100만 년 전 기후까지도 연구할 수 있다. 최저 기온이 영하 80도 밑으로 내려가기 때문에 우주 등 극한지 탐사기술 연구 유망지로도 꼽힌다.

탐사대는 이번 탐사로 장보고기지와 남극내륙기지 후보지를 잇는 1512km의 육상루트를 확보했다. 기지로 복귀하면서 270km의 신규 루트를 추가로 개척할 예정이다. 빙저호나 블루 아이스 등 다른 연구를 목적으로 개척한 과학루트 433km까지 더하면 한국이 남극에서 확보한 육상루트는 2200km에 이를 전망이다.

지구에서 평균 고도가 가장 높은 남극은 평균 2km 두께의 얼음이 덮여 있다. 빙하가 움직이면서 형성된 크레바스나 영하 수십 도까지 떨어지는 극한 환경 때문에 대륙 안쪽으로 접근이 어렵다. 그래서 남극 내륙에 독자적인 루트를 보유한 나라는 미국, 중국, 일본 등 5개에 불과하다.

무엇보다 남극에서 새로운 기지의 문을 열기 위해서는 국제사회의 동의가 필요하다. K-루트 탐사대는 후보지에서 향후 기지 건설 시 필요한 환경영향평가를 위해 환경시료 채집, 기상관측장비 설치 등 연구 활동을 수행할 계획이다. 탐사대는 활동을 마치고 다음 달 중순쯤 장보고기지로 돌아올 예정이다.

신형철 극지연구소장은 “이번 K-루트 개척으로 몇몇 선진국들만 가능했던 남극내륙 연구의 문이 활짝 열렸다”며 “K-루트를 활용해 미래 발전 가능성이 높은 연구 거점을 선점, 남극연구 선진국들과 경쟁하고 대한민국의 극지연구 역량을 끌어 올리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