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영범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이 지난 8일 보현산천문대에서 촬영한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한국천문연구원

12일 밤부터 13일 새벽까지 3대 별똥별 중 하나인 ‘페르세우스 유성우’가 쏟아질 전망이다.

한국천문연구원과 국제유성기구(IMO)에 따르면, 올해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의 극대시간은 12일 오후 11시30분이다. 이날 달도 오후 11시쯤 지기 때문에 관측 조건이 좋다. 시간당 최대 관측 가능한 유성의 수는 약 100개지만, 대도시 불빛과 미세먼지 등 영향으로 이보다는 훨씬 적게 보인다. 관측 최적기는 12일 밤부터 13일 새벽까지다.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스위프트-터틀’ 혜성에 의해 우주 공간에 흩뿌려진 먼지 부스러기들이 지구 대기와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유성우다. 페르세우스 자리 방향에서 방사되어 나오는 것처럼 보여 이 같은 이름을 얻었다. 매년 7월 중순부터 8월 말 사이에 관측할 수 있다.

천문연은 도시의 불빛으로부터 벗어나 깜깜하고 맑은 밤하늘이 있는 곳이 관측 장소로 좋다고 했다. 주위에 높은 건물이나 산이 없는 사방이 트여있는 곳도 좋다. 유성우의 복사점(유성의 궤적이 시작되는 부분)이 아니라 오히려 복사점에서 30도 정도 떨어진 곳에서 길게 떨어지는 유성을 관측할 확률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