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8일 밤하늘 달과 토성이 50년 만에 가장 가깝게 보일 전망이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오는 8일 오후 5시 49분 남쪽 하늘에서 달과 토성이 0.3도로 근접한 모습을 볼 수 있다고 5일 밝혔다. 맨눈으로는 달과 토성이 거의 붙어 보이고, 망원경으로는 한 시야에 들어온다. 이번 근접 현상은 월몰 직전인 9일 0시 14분까지 관측할 수 있다.

그래픽=조선디자인랩 김영재

달과 토성이 가깝게 보인다고 해서 두 천체간 물리적 거리가 가까워지는 것은 아니다. 지구에 대한 달의 공전주기는 29.5일, 태양에 대한 토성의 공전주기는 29.5년인데, 두 천체의 공전궤도면 기울기 차이로 인해 근접 현상이 드물게 일어난다는 것이 천문연 설명이다. 실제로 서울을 기준으로 달과 토성은 1974년 2월 4일 이후 50년 만에 가장 가까워진다. 다음에는 2075년 8월 20일이 돼야 달과 토성이 이번만큼이나 가까워 보일 전망이다.

달·토성 근접은 남쪽 하늘 40도 이상에서 발생해, 높은 산이나 빌딩이 없다면 맨눈으로도 쉽게 관측할 수 있다. 쌍안경이나 시야가 넓은 망원경으로는 한 시야에 달과 토성이 동시에 들어온다. 배율이 큰 망원경으로 토성을 본다면 토성의 고리와 토성의 가장 큰 위성인 타이탄을 볼 수 있다.

한편 8일 밤에는 올해 가장 빛나는 목성도 볼 수 있을 전망이다. 태양-지구-행성의 순서로 천체들이 위치하면 ‘충(衝)’의 위치에 있다고 하는데, 이때 행성이 지구와 가장 가깝게 위치하고 밝게 빛난다. 8일 목성은 일몰 이후 북동쪽 하늘에서 뜨며 밤새도록 관측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