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아이돌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소속사이자 올해 하반기 기업공개(IPO) 시장의 최대어로 꼽히는 빅히트엔터테인먼트(빅히트)의 기관투자자 수요예측 경쟁률이 1100대 1을 넘어섰다. 빅히트의 공모가는 희망 가격 범위의 최상단인 13만5000원으로 확정됐다. 지난 1일 BTS의 신곡 ‘다이너마이트’가 빌보드의 메인 싱글 차트 ‘핫 100’에서 1위에 오른 것이 투자 열기를 고조시켰다. 개인 투자자의 일반 청약(10월 5~6일)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증권사 종합자산관리계좌(CMA) 잔고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주식투자 대기자금도 늘어나고 있다.

빅히트엔터테인먼트 코스피 시장 상장 개요 / 그래픽=최혜인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 1117대 1, SK 바이오팜 넘어서

빅히트는 28일 “지난 24~25일 실시된 국내외 기관투자자 수요예측 조사에 1420개 기관이 참여, 1117.2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 공모주 열풍의 기폭제 역할을 했던 SK바이오팜(835.66대 1)보다는 높지만, 이달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카카오게임즈(1478.53대1)에는 미치지 못하는 기록이다. 해외에서는 글로벌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과 싱가포르투자청(GIC)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적으로 높은 인기를 누리는 K팝 그룹 중에서도 ‘넘버원’이기 때문에 국내뿐 아니라 해외 투자자의 주목을 받은 것이다.

외신도 빅히트가 BTS의 소속사라는 점에서 이번 기업공개에 이례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지난 25일 “한국 BTS 팬들 사이에서 (빅히트 주식을) 한 주라도 확보하기 위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며 “한 주라도 청약에 성공하면 행운이라고 여기는 ‘아미(ARMY·BTS의 팬클럽)’들 사이에서 공모가가 얼마인지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 전했다.

공모가를 기준으로 산정한 빅히트의 시가총액은 약 4조8500억원 수준이다. 국내 엔터테인먼트 3사로 꼽히는 JYP엔터테인먼트, YG엔터테인먼트, SM의 시총을 모두 더한 것(약 3조2000억원)보다 많다.

만일 빅히트가 상장 당일 ‘따상’(공모가 2배로 시초가 형성 후 상한가로 상승)을 기록할 경우 주가는 35만1000원까지 오를 수 있다. 이 경우 빅히트의 시가총액은 약 12조5000억원까지 증가해 코스피 시장 시총 20위권 진입도 가능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아미'도 가세한 빅히트 청약… 흥행 신기록 쓸까

시장의 관심은 개인 투자자 일반 청약에서 빅히트가 과연 SK바이오팜·카카오게임즈를 능가하는 흥행 기록을 쓰느냐 여부에 몰리고 있다.

시장 분위기는 일단 긍정적이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펀드나 주가연계증권(ELS) 등 금융상품을 살 수 있는 증권 계좌인 CMA 잔고는 빅히트 일반 청약 4거래일 전인 지난 24일 62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사상 최대치로, 일주일 전보다 1조원 넘게 증가한 것이다. 앞서 공모주 열풍을 일으켰던 카카오게임즈와 SK바이오팜 때와 비교하면 같은 시기 CMA 잔고는 각각 3조원, 7조원가량 많은 수치다. 증시 대기 자금인 투자자예탁금 역시 증가 추세다. 지난 24일 투자자예탁금은 55조3000억원으로, 카카오게임즈(52조3000억원)와 SK바이오팜(46조3000억원)의 청약 나흘 전 투자자예탁금을 웃돌았다.

빅히트 공모주 관련 상품도 쏟아지고 있다. 코레이트자산운용이 빅히트 청약을 겨냥해 지난 24일 딱 하루 동안 모집한 공모주 펀드에는 2400억원이 몰렸다.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는 빅히트 일반 투자자 청약증거금으로 1만명에게 최대 4500만원을 대출해주는 상품을 선보였다.

경쟁이 치열한 만큼 개인 투자자가 빅히트의 공모주를 배정받는 것은 로또 당첨만큼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경쟁률이 1000대 1일 경우 빅히트 공모주 1주를 받기 위해선 6750만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1억원을 증거금으로 넣어도 1주만 배정받게 된다. SK바이오팜(323대 1)과 같은 경쟁률일 경우에는 1억원을 넣을 경우 4주를 배당받을 수 있다.

하지만 빅히트가 카카오게임즈 정도로 흥행에 성공하기는 어렵다는 의견도 있다. 국내 증권사들이 전망한 빅히트의 목표 주가는 최저 16만원에서 최고 38만원까지 편차가 큰 편이다. ‘최대 6개월까지 주식을 팔지 않겠다’는 기관투자자의 의무보유 확약 비율 역시 43.9%로, SK바이오팜(81.2%)와 카카오게임즈(58.6%)보다 낮은 편이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상장 직후 주가가 올랐을 때 기관투자자들이 대거 빅히트 주식을 매도하며 차익 실현에 나설 수 있기 때문에 개인 투자자는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