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제재로 강제 매각을 앞둔 중국의 동영상 앱 ‘틱톡’의 운명이 소용돌이 속으로 휘말려 들어가 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정해둔 미국 내 틱톡 서비스 중단 기한인 20일을 정도 앞두고 중국 정부가 틱톡 매각을 제한하며 반격에 나섰기 때문이다.

30일 저녁 틱톡을 운영하는 바이트댄스는 공식 성명을 통해 “회사는 기술 수출관련 업무에서 최근 발표된 중국 정부의 지침을 엄격하게 따를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28일 중국 상무부와 과학기술부는 ‘기술 수출금지·규제 목록 개정안’을 발표하며 총 53개의 신기술을 수출 규제 기술로 규정했다. 이 중에는 틱톡 같은 소셜미디어 서비스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AI), 데이터 분석, 음성 합성·평가 등도 포함됐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매각 역시 기술 수출의 한 형태로, 현재 진행중인 협상을 중단할 것을 진지하게 검토해야한다”고 노골적으로 지적했다.

당초 바이트댄스는 이번 주 중에 틱톡의 미국사업 부문을 인수할 우선협상자를 선정하고, 매각 절차를 빠른 시일 내 마무리 할 계획이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따라 모든 미국 기업들이 바이트댄스와의 거래가 금지되는 9월 20일까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4일 새로운 행정명령을 통해 원래 9월 15일까지였던 매각 기한을 11월 12일로 연장시켰다. 하지만 업계에선 “거래 금지 기한인 20일 전에 매각을 마무리하지 않으면 11월에 매각을 한다해도 두달 동안 서비스 공백이 생긴다”며 “그 사이 경쟁자인 페이스북의 유사 서비스가 치고 올라올텐데, 사실상 20일 전에 매각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는 평가가 나왔다.

미국에서만 월간 이용자 수 1억명을 보유하고 있는 틱톡의 인수전엔 이미 마이크로소프트(MS)·구글·오라클·소프트뱅크·월마트 등 굴지의 미국 기업들이 총출동한 상태다. 매각 규모는 300억 달러(약 35조 5000억원) 이상이 될 것으로 점쳐진다.

하지만 중국의 반격으로 이 초대형 인수전(戰)은 당분간 무기한 연기될 전망이다. 중국 IT매체 콰이커지는 “중국 정부는 바이트댄스를 위해 시간을 벌어주려는 것”이라며 “사실상 매각은 미국 대선 이후로 미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