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업만 해봐라. 주주들이 가만있지 않겠다.’ ‘번 돈을 다 뿌리면 회사는 어떻게 성장하나.’
삼성전자 노조가 지난 4일 정부 중앙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 조정신청’을 냈다는 소식에 달린 소액주주들의 댓글입니다. 노조는 작년 9월부터 이어온 노사 간 임금협상이 합의점을 찾지 못하자, 정부에 중재 신청을 했습니다. 노조는 ‘전 직원 연봉 1000만원 일괄 인상’ ‘매년 영업이익의 25% 성과급 지급’ 등을 요구하는데, 회사와 입장 차가 커 조정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조정이 실패하면 노조는 합법적으로 파업할 수 있는 쟁의권(爭議權)을 얻게 됩니다. 4500여 명으로 추정되는 노조원은 삼성전자 국내 임직원(11만여 명)의 4% 수준에 불과합니다. 그럼에도 1969년 창사 이래 첫 파업 가능성이 커지자 소액주주들이 비판에 나선 것이죠.
삼성전자 소액주주는 약 519만명, 국민 10명당 1명꼴입니다. 이들은 지난해에만 31조원 넘게 삼성전자 주식을 사들이며 회사 실적과 주가를 유심히 지켜보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279조6000억원)과 51조원대 영업이익을 거뒀지만, 주가는 주춤한 상황입니다. 4일 종가는 7만4000원으로 52주 최저가(6만8300원)와 불과 5700원 차이입니다. 1월에만 6% 넘게 빠졌습니다. 작년 4분기 소액주주들이 기대했던 특별배당도 없었습니다. 답답한 주가에 속이 터진 소액주주들이 ‘매년 영업익의 25%를 성과급으로 달라’는 노조의 투쟁에 분노하는 것입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영업이익의 93%에 해당하는 48조2000억원을 반도체·디스플레이 시설 투자에 쏟아부었습니다. 악착같이 1등을 지켜내고, 쫓아오는 후발주자와 격차를 벌리기 위한 것입니다. 여기에 전 직원 200%(월 기본급 기준) 보너스, 메모리 사업부 300% 추가 보너스도 지급했습니다.
회사 성과에 기여한 직원들의 보상 요구는 당연한 일입니다. 그 적정선은 노사가 조율할 문제이지만 그게 회사의 경쟁력을 갉아먹는 수준이어선 곤란할 것입니다. ‘국민기업’이 된 삼성전자에 쌈짓돈을 투자한 소액 주주들이 노조의 요구에 반발하는 이유도 헤아려보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