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28일(현지시각) 올 1분기 매출이 1년 전보다 8.6% 늘어난 972억7800만달러(123조9000억원), 영업이익이 같은 기간 9% 증가한 299억7900만달러(38조2000억원), 순이익은 5.8% 늘어난 250억1000만달러(31조9000억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모두 시장 예상치를 초과한 호실적으로, 역대 1분기 기준 최고치다. 주당 순이익은 1.52달러로, 시장 예상치(1.43달러)를 뛰어넘었다. CNBC는 “인플레이션, 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빅테크 주가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애플이 투자자의 우려를 불식시켰다”고 했다.
애플의 아이폰 판매, 컴퓨터인 맥 판매, 애플TV+ 등 서비스 매출이 모두 상승했다. 아이폰 매출은 1년 전보다 5.5% 증가한 505억7000만달러(64조4000억원)를 기록했고, 서비스 매출은 17.3% 증가한 198억2100만달러(25조2000억원)로 집계됐다. 애플은 애플TV+, 애플뮤직 등 애플 서비스 유료 구독자가 지난 분기보다 4000만명 증가한 8억2500만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아이패드 부문만 매출이 1년 전보다 2% 줄었는데, 팀 쿡 애플 CEO(최고경영자)는 “심각한 공급망 제약이 있었다”고 했다.
◇ “2분기 최대 10조원 매출 타격 온다” 시간외거래서 주가 하락 중 … 배당금 늘리고, 자사주 매입도 추진
팀 쿡 CEO는 “안드로이드에서 아이폰으로 넘어오는 사람들이 처음으로 전체 대비 두자릿수까지 성장했다”고 했다. 아이폰13이 잘 팔린다는 뜻이다.
좋은 성적을 거뒀지만 애플 주가는 주춤거렸다. 이날 애플 주가는 장중 4.52% 상승했지만, 실적 발표 후 오후 2시 45분 기준(미 서부) 시간외거래에서 4% 하락 중이다. 애플이 올 2분기 사업 환경이 어려워질 것이라고 밝혔기 때문이다. 애플은 중국의 코로나 봉쇄로 아이폰 생산 등의 공급망 제약이 심해졌고, 인플레이션도 영향을 주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루카 메스트리 애플 CFO(최고재무책임자)는 “2분기 공급 제약으로 인해 40억~80억달러(10조2000억원) 규모의 매출 타격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라 애플이 러시아 시장에서 철수한 것도 매출에 영향을 미쳤고, 이는 2분기 더 큰 타격으로 다가올 것”이라고 했다.
애플은 떨어지는 주가를 방어하기 위해 이날 주당 배당금을 5% 늘리고, 900억달러에 달하는 자사주를 매입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