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15~16일 서비스 먹통 사태와 관련해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를 꾸리기로 했다.
카카오는 “판교 SK C&C 데이터센터 화재 직후 경영진과 각 부문 책임자들로 구성해 가동해온 대응 컨트롤 타워를 비대위로 전환 출범한다”고 16일 밝혔다. 위원장은 홍은택 카카오 공동체센터장(카카오 각자대표)이 맡는다. 본사와 주요 자회사의 책임자들이 비대위에 참여한다. 카카오 측은 “카카오페이와 카카오모빌리티 등 자회사에서 참여할 것”이라며 “정확한 참여사와 인원 등은 논의 중”이라고 했다.
비대위는 원인 조사 소위원회와 재난 대책 소위원회, 보상 대책 소위원회 등 3개 분과로 구성된다. 원인 조사 소위는 데이터센터 화재 원인과 전원 공급 지연, 복구 과정 등을 놓고 경위를 따져본다. 재난 대책 소위는 유사 사건이 재발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한다. 외부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보상 대책 소위는 장애로 피해를 입은 이용자 등에 대한 보상 정책을 수립한다.
카카오는 다음주 중 피해 신고 채널을 마련한다. 신고 내용을 바탕으로 보상 대상과 범위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다.
홍은택 대표는 “이번 사고로 불편을 끼쳐드린 점에 진심으로 사과드리며, 서비스 정상화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며 “관계 당국의 우려를 어느 때보다 무겁게 받아들이며 조사와 요청에 성실하게 협조하고, 강도 높은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함과 동시에 이번 사고로 피해를 본 분들을 위한 보상 정책을 준비할 계획”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