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00억달러(약 684조2000억원). 미국 빅테크 기업을 거느린 갑부들이 올해 입은 재산 손실 규모다. 특히 메타플랫폼 최고경영자(CEO)인 마크 저커버그는 올해만 870억달러(약 124조원)의 재산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8일(현지 시각) “빅테크 기업을 거느린 부자들이 최근 경기 하강 국면에서 천문학적 규모의 재산 손실을 기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하고 있는데다, ‘어닝 쇼크’까지 겹치면서 주가가 크게 떨어지고 있어서다.
블룸버그통신의 억만장자 지수에 따르면, 27일 기준으로 저커버그,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등 테크 업계 상위 20명 갑부의 재산은 연초 대비 4800억달러 이상 줄었다. WSJ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에 포함된 기업 가치를 전부 합친 것에 맞먹는 규모”라고 했다.
저커버그는 올해 초 전체 부호 순위에서 6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28위까지 떨어졌다. 의욕적으로 추진 중인 메타버스 사업이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어서다. 메타 주가는 27일에만 24.6% 폭락했다. 저커버그가 보유한 지분 가치는 이날만 112억달러(약 16조원) 줄었다.
세계 최고 부자인 머스크와 베이조스는 각각 580억달러(약 82조7000억원)가량의 손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구글 모기업인 알파벳을 공동 창업한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도 각각 400억달러(약 57조원)씩 재산이 감소했다.
재산이 늘어난 경우도 있었다. 틱톡을 만든 바이트댄스의 창업자 장이밍은 104억달러(약 14조8000억원)의 재산이 증가했고, 유비퀴티 CEO인 로버트 페라의 재산은 13억달러(약 1조9000억원) 늘었다.
WSJ는 “코로나 유행 초기만 해도 억만장자가 30시간에 한 명씩 탄생했었다”며 “크게 성장하던 IT업계가 이제는 고물가와 금리 상승, 디지털 광고 시장 둔화로 고통받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