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지난 10월 대규모 장애와 같은 사고를 막기 위해 향후 5년 동안 서비스 안정화 투자 금액을 기존 대비 3배로 늘리고, 데이터센터 보관을 삼중화(三重化)하겠다는 내용의 재발 방지 대책을 발표했다. 7일 카카오의 개발자 온라인 콘퍼런스 ‘이프 카카오 데브 2022′에 참석한 남궁훈 전 카카오 대표 등 재발방지대책소위원회 소속 위원 4명은 “다시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겠다”며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카카오는 서비스 안정화를 위한 인재 확보, 기술 개발, 삼중화 복구 시스템 마련에 지난 5년간 쓴 투자 금액의 3배 이상을 향후 5년 동안 쓰기로 했다. 데이터센터 삼중화란 3개의 데이터센터를 연동시켜 센터 한 곳이 무력화되더라도 나머지 두 곳에서 정상적인 서비스를 운영하는 것이다.
카카오는 또 4600억원 예산을 투입해 경기도 안산에 짓고 있는 자체 데이터센터에도 비상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설비와 체계를 갖추기로 했다. 카카오는 “2024년 완공을 목표로 구축 중인 안산 데이터센터는 전력·냉방·통신 등 3개 영역 인프라를 이중으로 구성해 어떤 상황에서도 24시간 가동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며 “또 화재 상황에 대비해 방화 격벽으로 주요 설비를 분리, 배터리실에서 불이 나도 전원장치에 영향이 가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