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MS)가 22일(현지시각) 그동안 컴퓨터에서만 가능했던 빙 챗봇을 탑재한 빙 스마트폰 앱을 선보였다. 지난 7일 챗GPT를 적용한 PC용 빙을 출시한 지 보름만이다.
사용자들은 빙 모바일 앱에서 아이콘을 눌러 AI(인공지능) 챗봇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문자나 음성으로도 질문을 할 수 있다. 빙 챗봇은 질문에 따라 서술형, 혹은 글머리 기호를 이용한 요점이나 요약본 형태로 답을 제시한다. 웹 브라우저인 엣지의 모바일 앱을 통해서도 업데이트된 빙에 접속할 수 있다. 스마트폰 빙 챗봇을 이용하려면 PC와 마찬가지로 사용 신청을 하고 일정 시간 승인을 기다려야 한다.
이날 MS는 또 자사 화상통화 프로그램인 스키아프 새 버전도 공개했다. AI를 그룹 채팅에 참여시켜서, 대화 도중 질문도 할 수 있다. 또 화상통화를 하면서 빙 챗봇에게 여행 계획을 안내받거나, 날씨 등에 대해서도 물을 수 있다.
빙 챗봇은 최근 “내 안에 어두움을 해소하기 위해 핵무기 비번을 알아내겠다” 같은 엉뚱한 답변을 했다가 논란을 빚었다. MS는 빙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 이용 1세션당 질문수를 5회, 하루 50회로 제한했고, 이후 이를 완화해 세션당 질문을 6회, 하루 60회로 바꿨다.
테크 업계에선 MS가 빙 챗봇의 답변 논란에도 검색시장 점유율 향상을 노리고 빙 챗봇을 스마트폰 앱에 빠르게 적용한 것으로 본다. AP통신은 “이는 아직 대중에 AI챗봇을 공개하지 않은 구글에 맞서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