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은 제조업체가 어떻게 중국을 떠나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연구 사례(case study)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달 이 같은 제목의 기사를 통해 삼성전자 중국 생산 기지의 제3국 이전을 집중 조명했다. 애플을 비롯한 제조 기업들이 최근 ‘탈(脫)중국’을 외치며 베트남, 인도로 향하고 있는데 이미 삼성은 일찌감치 중국을 떠나 그곳의 터줏대감이 된 ‘퍼스트 무버(first mover)’라는 것이다.
삼성전자는 한때 중국 스마트폰 시장 1위 업체였다. 10년 전인 2013년만 해도 20%에 육박하는 점유율(19.7%)로 중국 스마트폰 시장을 장악했다. 중국 화웨이(11%), ZTE(7%)는 물론 애플(6%)도 적수가 되지 않았다. 그러다 샤오미·화웨이·오포·비보 등 ‘현지 4총사’가 급부상했고, 2017년 중국의 ‘사드 보복’까지 가시화하며 2018년 충격적인 0%대 점유율(0.8%)을 기록했다. 세계 1위 TV 사업도 중국에선 4.9% 점유율로 10위에 그쳤다.
이 상태가 지속되자 이듬해인 2019년 삼성은 톈진과 후이저우에 있던 휴대폰 공장을 모두 철수했다. 톈진의 TV 공장도 함께 문을 닫았다. 현지 인건비 역시 가파르게 상승하던 때였다. 2013년 6만명에 달했던 중국 현지 인력은 지난 2021년 1만7820명으로 70% 이상 줄었다.
‘탈중국’은 비자발적이었지만, 결과적으로 삼성에 ‘쓴 약’이 됐다. 삼성은 세계 2위 시장인 인도와 베트남으로 생산 물량을 대거 옮기고 현지 협력사를 키우며 탄탄한 생태계를 구축했다. 중국의 빈 자리를 신흥 시장에서 채운 덕에 삼성은 여전히 전 분야 세계 1위를 꿋꿋하게 지키고 있다. WSJ는 “애플과 다른 제조업체들이 이제야 베트남·인도 비중을 늘릴 때, 삼성이 이미 자리 잡고 있는 것은 상당한 경쟁 우위가 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