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과 스위스 과일 연합(FUS)이 사과를 두고 다투게 됐다. IT 전문지 와이어드는 “테크기업인 애플이 스위스 당국에 사과에 대한 광범위한 지적재산권을 요구하고 있다”며 “만약 이 요구가 받아들여진다면 사과를 로고로 사용하고 있는 FUS는 더 이상 로고를 못 쓸 수도 있다”고 19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FUS는 111년의 역사를 가진 스위스 최대·최고(最古) 과일 관련 연합이다.

애플 로고와 스위스 과일 연합 로고.

FUS의 로고는 빨간 사과에 스위스 국기에 있는 흰색 십자가를 얹은 모양이다. 애플의 로고는 무채색의 한입 베어 문 사과 모양이다. FUS 관계자는 “우리는 한입 물린 사과를 로고로 쓰는 것도 아니라서 애플의 조치를 이해하기 어렵다”며 “애플의 목적은 사과에 대한 광범위한 권리를 소유하는 것인데, 우리에게 사과는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보편적인 것이다”라고 했다.

애플이 스위스에서 사과에 대한 지적재산권을 확보하려는 시도는 2017년부터 시작됐다. 애플은 당시 스위스 지적재산권 기관(IPI)에 흔한 녹색 사과 품종 중 하나인 그래니 스미스의 ‘사실적인 흑백 묘사’에 대한 지적재산권 신청을 냈다. 지적재산권의 범위는 전자, 디지털, 시청각 소비재와 하드웨어였다. 만약 이 신청이 받아들여진다면 스위스에서 흑백의 사과 모양을 로고나 상품으로 만들거나 상업적인 용도로 쓰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IPI는 “사과와 같은 일반 상품의 이미지는 공공 영역으로 간주한다”며 애플이 원하는 일부 제품에 대해서만 권리를 가질 수 있다고 판단했다. 지적재산권 요청이 부분적으로만 받아들여지자 애플은 최근 항소를 제기했다.

애플이 사과에 집착을 드러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세계지식재산권기구에 따르면 애플은 전 세계 수십개 지적재산권 당국에 비슷한 요청을 했고, 일본, 터키, 이스라엘, 아르메니아에선 이를 받아들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