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자국 내 해외 브랜드 스마트폰 사용 금지령을 확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애플의 아이폰을 겨냥한 조치지만 중국 내 스마트폰 사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삼성전자에도 영향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애플이 최근 출시한 스마트폰 아이폰 15의 고급 모델에서 발열 문제가 심각해지자 결함을 인정하고 운영 체제를 업데이트하기로 하는 등 사태 진화에 나섰다. 사진은 지난달 22일 아이폰 15가 출시된 중국 상하이 애플 매장. /로이터 연합뉴스

블룸버그통신은 16일(현지 시각) 소식통을 인용해 “최소 8개 중국 성(省)에 있는 정부 부처와 국영 기업들이 지난 1~2개월 사이 직원들에게 업무용으로 중국 브랜드 휴대전화만 사용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보도했다. 사실상 해외 기업 스마트폰 사용을 금지한 것이다. 매체에 따르면 저장성·광둥성·장쑤성 등 주로 경제 규모가 큰 지역에 금지령이 내려졌고, 세계 최대 아이폰 생산 공장이 있는 허베이성도 포함됐다.

중국이 해외 스마트폰 사용을 막은 것은 미국의 대중 제재에 대한 반발 성격이 크다. 미 정부는 지난해부터 중국에 대한 반도체 기술·장비 수출을 차단하고 있다. 중국은 미 제재로 위기에 몰린 자국 기업을 살리기 위해 지난 9월 베이징, 톈진 등 일부 지역 공무원들에게 해외 브랜드 스마트폰 사용을 금지했다. 중국 화웨이가 미 제재를 뚫고 자체 기술로 생산한 5G 통신 칩을 적용한 스마트폰을 출시한 직후였다. 화웨이 스마트폰 출시를 계기로 중국 내 애국 소비 열풍이 크게 불면서 아이폰 사용 금지 지역이 확대된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애플은 이번 조치로 직접적인 타격을 입게 됐다. 애플은 전체 매출의 20%가량이 중국에서 발생한다. 지난해 중국서만 742억달러(약 96조원)의 매출을 올렸다. 지난 9월 아이폰15의 중국 판매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 아이폰14에 비해 6% 줄어드는 등 이미 금지령의 영향을 받고 있다. 삼성전자는 중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이 1% 안팎으로 낮은 편이지만 최근 폴더블폰 판매를 확대하며 시장 공략을 늘려가고 있는 상황에서 악재를 만났다. 블룸버그는 “구체적으로 몇 개의 중국 정부 기관에 금지령 지침이 내려졌는지 불분명하지만 중국 시장을 확대하려는 애플과 삼성에 중대한 도전이 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