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가전 부문(DX)에 이어 반도체 부문(DS)도 업무 보조용 생성형AI를 도입했다.
18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DS 부문은 이날부터 사업부별로 순차적으로 생성형AI를 도입한다고 사내에 공지했다. 사내 생성형AI 명칭은 ‘DS 어시스턴트(DS Assistant)’로 알려졌다. 앞서 DX 부문도 지난주부터 업무 보조용 AI ‘가우스 포털’을 도입했다.
삼성전자 DS의 생성형 AI ‘DS 어시스턴트’는 반도체 설계 등 임직원들의 업무 보조에 쓰일 것으로 알려졌다. DX의 가우스 포털도 메일 작성이나 문서 요약 등을 돕는 용도로 쓰일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DS의 생성형 AI는 앞서 사내 서비스를 시작한 DX의 가우스와 별도의 시스템인 것으로 알려졌다. 보안에 더 민감한 반도체 사업의 특성과 사업 구조의 차이를 고려해 별도로 구축한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오픈AI의 챗GPT 등은 보안 문제 때문에 자체 생성형 AI 구축을 준비해 왔다. 외부고객용이 아닌 내부 업무 보조 목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