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IT 전시회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2024′ 개막 하루 전인 8일(현지 시각) 프레스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모두를 위한 AI: 일상 속 똑똑한 초연결 경험’을 위한 비전을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행사에서 인공지능(AI) 시대에 걸맞은 강력한 보안과 책임의식, AI 기반의 다양한 신제품, 새로운 차원의 사용자 경험 등 AI로 열어가는 초연결 시대와 지속가능성을 선도하는 삼성전자의 전략을 소개했다.
삼성전자 한종희 대표이사 부회장은 “삼성전자는 기술을 넘어 산업계 전반을 재구성하고 삶을 보다 편리하게 하는 AI를 구현하고자 10년 넘게 투자해왔다”며 “앞으로도 누구나 쉽고 안전하게 일상생활에서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AI 시대 디지털 보안과 책임의식
삼성전자는 AI 시대에 사용자의 보안을 강조했다. 삼성 녹스 매트릭스는 상호 모니터링해 문제가 된 장치를 분리해 다른 기기들의 보안을 안전하게 유지 할 수 있으며, 올해 중 삼성전자 TV와 패밀리 허브 냉장고까지 확대될 예정이다. 갤럭시 A시리즈에 확대된 삼성 녹스 볼트는 핀코드·비밀번호·패턴과 같은 개인의 민감한 정보를 보호해준다.
◇다양한 AI 가전 선보여
삼성전자는 AI 기능이 탑재된 TV, 가전, 모바일 신제품들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삼성전자의 TV 신제품 ‘Neo QLED 8K’는 지난해보다 2배 빨라진 AI 프로세서가 탑재됐다. AI 프로세서를 통해 화질과 음질을 업그레이드했다고 삼성전자는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업그레이드된 AI 기능을 기반으로 연결성을 강화한 생활가전 신제품을 선보였다. 냉장고 전면부에 32인치 스크린을 탑재한 신제품 ‘비스포크 냉장고 패밀리허브 플러스’는 식재료를 넣거나 뺄 때마다 카메라가 인식하고, 보관된 푸드 리스트를 자동으로 만들어준다. 이외에도 오염도에 따라 최적의 세제 투입과 맞춤 세탁∙건조하는 등의 ‘AI 맞춤’ 코스가 탑재된 ‘비스포크 AI 콤보’, 사물∙공간인식 기능은 물론 마룻바닥과 카페트를 스스로 인식해 재질에 맞춰 청소하는 ‘비스포크 제트봇 콤보’도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가전 전용 AI 칩 적용과 타이젠 OS 탑재를 통해 구현된다”고 했다.
또한 삼성전자는 마이크로소프트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새로운 지능형 연결 기능인 ‘코파일럿’ 도입 계획을 밝혔다. 오는 3월부터 갤럭시 북4 시리즈에서 스마트폰의 문자 메시지를 찾아서 읽거나 간단하게 내용을 요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문자 메시지를 자동 작성하고 보내기 등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AI로 초연결 구현
삼성전자는 AI를 통한 스마트싱스와 빅스비가 더욱 자동화 되고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공간 AI 기술로 집안 환경을 더 잘 파악하고 기기들을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싱스 맵 뷰를 소개했다. 스마트싱스는 빅스비와 연동된다. 삼성전자는 현대차그룹과 함께 스마트싱스 플랫폼 연동을 통해 차까지 확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