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6년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오픈AI 창립팀에 AI용 수퍼컴퓨터를 건내고 있다. /일론 머스크 X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최대 7조 달러에 달하는 투자금을 모색하며 AI반도체를 직접 생산에 나서려는 등 광폭 활동을 이어가는 가운데, 그와 함께 오픈AI를 설립했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오늘날의 오픈AI를 비꼬는 듯한 글을 X에 다수 올렸다.

과거 오픈AI 창립 당시 사진을 공개하며 "지금 무슨일이 일어났는지 보라"고 쓴 일론 머스크. /일론 머스크 X

19일(현지 시각) 머스크는 X에 지난 2016년 촬영된 사진 3장을 공개했다. 당시 ‘인간에게 해가 되지 않는 AI연구’를 표방하며 비영리재단으로 오픈AI를 설립하며, 엔비디아 젠슨 황 CEO으로부터 AI슈퍼컴퓨터를 기증 받을 때 촬영된 사진들이다. 이 사진에서 일론 머스크는 작년 샘 올트먼 축출 사태의 중심에 있었던 일리야 수츠케버 오픈AI 전 최고과학자와 함께 수퍼컴퓨터용 AI 시스템을 둘러보고 있다.

'일론과 오픈AI 팀에게: 컴퓨팅과 인류를 미래를 위해, 여러분께 세계 최초의 DGX-1을 제공드립니다'라고 쓰여진 엔비디아 DGX-1./일론 머스크 X

젠슨 황은 이 시스템 위에 ‘일론과 오픈AI 팀에게: 컴퓨팅과 인류를 미래를 위해, 여러분께 세계 최초의 DGX-1을 제공드립니다’라고 썼고, 머스크는 그 밑에 ‘감사하다’고 답글을 적었다. 엔비디아 DGX-1는 2016년 4월 공개된 세계 최초 딥러닝 전용 수퍼컴퓨터다. 일론 머스크는 이 같은 사진을 공개하며 “그리고 지금은 무슨일이 일어나는지 보라”며 슬픈 얼굴을 뜻하는 ‘:(’를 써넣기도 했다.

/일론 머스크 X

이어서 그는 2016년 8월 10일 자신이 올린 사진을 언급하며 “이것이 오픈AI를 설립한 원래 의도”라며 오픈AI 계정을 태그하기도 했다. 이 사진에는 ‘자유는 권력의 분배에 있다. 절대주의는 권력의 집중에 있다.”라는 영국 역사가 로드 액튼의 문구가 담겨 있다. 인류를 위한 AI를 만들자는 오픈AI의 설립 의도와 다르게 AI권력을 한 곳에 집중시키고 있는 오픈AI를 작심 비판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