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작년 4분기 D램 점유율이 약 7년 만에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작년 4분기 D램 시장 점유율은 45.7%로 1위를 차지했다. 2016년 3분기의 점유율 48.2%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삼성전자는 D램 점유율을 작년 3분기의 38.7%에서 7%포인트 늘리며 SK하이닉스와의 점유율 차이를 벌렸다. 2위 SK하이닉스의 D램 점유율은 31.7%, 3위 마이크론의 점유율은 19.1%로 각각 집계됐다.
D램 시장 매출에선 전 분기 대비 21%,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하며 6분기 만에 처음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달 실적 발표에서 작년 4분기 D램 흑자전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DDR5와 고대역폭 메모리(HBM) 등 고부가 제품의 매출이 크게 늘며 매출 상승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의 4분기 D램 평균 가격은 모바일 D램 가격 상승에 힘입어 전 분기 대비 12%상승했으며, 출하량은 전 분기 대비 16% 증가했다.
삼성전자의 D램 매출은 올해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이날 업계 최초로 36GB(기가바이트) HBM3E 12H(12단 적층) 개발에 성공해 상반기 양산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