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자동화 측면에서 많은 산업적 발전이 있었습니다. 이제는 산업 자동화를 넘어 ‘자율화’로 나아가야 하고, 여기에 인공지능(AI)이 기여할 분야가 많이 있습니다.”
윤일용 포스코DX AI기술센터장은 6일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포스코 AI 테크 미디어 데이’에서 “산업 현장에서 무인화를 확대할 필요성이 높기 때문에 포스코DX는 중후장대 산업에 특화된 자율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면서 “기술과 하드웨어의 융합을 통해 고도화된 자율 시스템을 만들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 센터장은 이날 행사에서 철강, 이차전지 소재, 물류 등 산업현장에 특화한 산업용 AI를 통해 디지털전환(DX)을 넘어 인공지능전환(AX)을 주도해나갈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포스코DX는 올해 AI기술센터를 신설하고,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기술을 적용해 자율화, 무인화, 최적화를 구현해나가고 있다. 이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면서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한 현장을 만들어 나가겠다는 전략이다.
포스코DX는 산업 현장의 자율화를 모토로, 자율화를 위한 3대 핵심 기능인 인지, 판단, 제어 분야에 AI 기술을 접목해 사람이 개입하지 않아도 운영되는 ‘스마트제조 2.0 시대’를 구현해 나가고 있다. AI기술센터는 인지(Vision Intelligence), 판단(Decision Intelligence), 제어(Control Intelligence) 등 3개 분야의 AI 엔진 개발을 통해 다양한 현장으로 확대 적용하고 있다.
먼저 인지AI는 현장의 눈 역할을 하는 분야로, 일반적인 2D 영상뿐만 아니라 넓은 현장을 가진 중후장대 산업에 적합한 3D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딥러닝 기술을 차별화시켜 제조, 유통물류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여 성과를 내고 있다. 예를 들어 수십 톤의 철강재를 운반하는 크레인에 인지AI를 적용해 철강재가 어디에 어떤 형태로 놓여 있는지 AI가 인지해 적재 순서 등을 계획할 수 있는 것이다. 영상뿐만 아니라 현장 설비들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들을 실시간 분석하는 이상감지 기술 적용하여 설비 이상유무를 사전에 인지하는 등 설비 관리의 무인화도 실현하고 있다.
판단AI 분야에서는 공장의 생산성 향상에 직결되는 작업 순서와 설비 할당 등을 판단하고, 제조업 특화 대형언어모델(LLM) 기술을 통해 설비 정보와 이상 현상 사이의 관계를 추출하는 논리적 추론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제어AI 분야에서는 설비의 최적 운전을 자율적으로 도출해 자동 제어를 지원하고, 고숙련 작업자들의 노하우를 딥러닝함으로써 효율적인 생산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고 있다.
윤 센터장은 “저희가 추구하고자 하는 중후장대 AI 모델 개발을 목표로 저희만이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면서 “산업 현장의 AI 전환 리더십을 확보하는 것도 목표”라고 했다. 그러면서 “AI기술센터가 철강, 이차전지 소재 등 중후장대 산업현장에 특화한 독창적 AI 기술을 개발, 확산해 포스코DX가 산업용 AI 전문 기업으로 성장해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