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퍼스널컴퓨터(PC)는 (운영체제인 윈도 95 이후) 30년 만에 온 혁명적인 변화다. PC의 위대한 르네상스가 시작됐다.”
7일(현지시각)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미 라스베이거스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젠슨 황 CEO는 라스베이거스 베네치안엑스포에서 열린 휴렛팩커드(HP)의 파트너 행사 ‘앰플리파이 파트너 콘퍼런스’(APC) 연사로 무대에 올랐다. 그는 “(하드웨어 추가로 작업 속도를 대폭 개선하는) 가속 컴퓨팅 기술로 컴퓨터의 효율이 10∼15배 올랐다”며 “(생성 인공지능을 구축하는 데 쓰이는) 데이터센터 현대화 기술을 이젠 PC에서도 만나볼 수 있다”고 했다.
트레이드 마크인 검은색 가죽 재킷을 입은 황 CEO는 “31년간 정보기술(IT) 기업의 최고경영자로 다양한 형태의 변화에 직면했다”면서 “PC가 지식을 습득하는 데 가장 영향력 있는 수단이라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했다. 그동안 다양한 디바이스의 등장으로 PC의 입지가 줄어들었지만 이제 AI를 달고 가정용 PC의 효율이 극대화됐다는 것이다. 특히 AI를 통해 PC에 더 쉽게 명령을 내리고, 더 좋은 결과물을 얻게 되면서 PC 시대가 부활했다고 봤다.
그는 “과거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거나 콘텐츠를 제작하려면 (프로그래밍 언어인) C나 베릴로그, C+를 배웠어야 했다”며 “하지만 이제는 사람의 언어로 동료에게, 거대언어모델(LLM)에, 인공지능에 지시하기만 하면 된다”고 했다.
한편 황 CEO는 이날 무대에서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약 1000만 명이 사용하는 ‘판다스(pandas) 라이브러리’를 HP의 전문가용 컴퓨터인 워크스테이션에서 기본 탑재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