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사업 강제 매각 위기에 직면한 중국 짧은 동영상 앱 ‘틱톡’이 이 같은 위기를 최근까지도 전혀 감지하지 못하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12일(현지 시각)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틱톡의 미국 사업부 임원들은 2주 전까지만 해도 싱가포르에 있는 본사에서 ‘미국 사업은 급박한 위기에 처해있지 않다’고 잘못된 보고를 했다. 당시 미국 최대 스포츠 행사인 슈퍼볼에 치뤄진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의 선거 캠페인이 틱톡에서 광고되며, 회사와 미 정부의 ‘화해무드’가 있다고 판단 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 후 미 당국은 틱톡의 사업을 미국에서 금지하거나, 강제로 매각 시킨다는 내용의 법안을 기습 발의했다. 미국인의 데이터를 중국으로 빼돌릴 위험이 있어, 틱톡의 소유주를 미국인으로 바꿔야한다는 주장이다. WSJ는 “지난 주 이 법안이 공개됐을 때 이 법안이 광범위한 지지를 받고 있다는 사실에 틱톡 측은 크게 놀랐다”며 “틱톡은 일부 의원들이 입법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지만, 이토록 빨리 많은 지지를 얻을 것이라곤 생각하지 않았던 것”이라고 전했다.
미 하원은 오는 13일 해당 법안에 대한 투표를 진행할 예정이며, 현재 분위기로는 통과할 가능성이 커보인다. 조 바이든 대통령 또한 “법안이 내 책상 위로 도착한다면 서명할 것”이라며 지지 의견을 밝혔다.
앞서 틱톡은 지난 2020년에도 비슷한 위기를 겪었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 명령을 통한 틱톡 앱 금지를 추진하며, 틱톡에게 사업을 매각할 것을 강요했다. 하지만 법원이 이에 제동을 걸고, 정권이 바뀌며 결국 틱톡 규제는 큰 결실을 내지 못한채 사라졌었다. WSJ는 “이미 한 차례 겪었던 사안이 있어 틱톡이 낙관적일 수 있었던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2020년 틱톡 금지 행정명령을 내렸던 트럼프는 이번에 나온 초당적 틱톡 규제 법안에 오히려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다. 그는 CNBC 인터뷰에서 “틱톡이 없어지면 미쳐버릴 어린이들이 많다”며 “틱톡을 규제하는 것을 페이스북에 힘을 실어주는 것이며, 페이스북이야말로 진정한 국민의 적”이라고 했다. 워싱턴포스트는 “(트럼프의 지적에 이어)바이든 정부 자체도 지난달 틱톡에 재선 캠페인 광고를 싣는 등 틱톡에 관련돼 혼란스러운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며 “(법안 통과에)장애물이 있는 상태”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