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이 오픈AI의 대항마로 꼽히는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앤스로픽’에 27억 5000만 달러(약 3조 7180억원)을 추가 투자한다고 27일(현지 시각) 밝혔다. 앞서 지난해 9월 앤스로픽에 12억 5000만 달러를 투자한데 이은 것으로, 이로써 아마존의 투자금 총액은 40억 달러(약 5조 4000억원)로 늘어나게 됐다. 이는 아마존이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사상 최대치의 금액이다.
앤스로픽은 오픈AI 출신 개발진이 창업한 회사로, ‘챗GPT’의 라이벌인 생성형AI 챗봇 ‘클로드’를 개발했다. 지난해 구글과 아마존 등으로부터 조 단위의 투자금을 유치했고, 이를 통해 챗봇 ‘클로드2′를 아마존웹서비스(AWS) 및 구글 클라우드를 통해 판매하고 있다. 클로드2는 요약과 답변 정확도 등에서 챗GPT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CNBC는 “아마존의 이번 투자는 AI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것”이라며 “아마존 30년 역사상 최대 규모의 외부투자”라고 했다. 아마존은 이번 투자를 통해 앤스로픽의 지분을 일부 소유하게 되지만, 이사회에는 참여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오픈AI에 130억 달러를 투입하기로 한 마이크로소프트(MS)가 오픈AI 이사회에 없는 것과 비슷한 구조로, 경영권 대신 기술 협력을 중점에 둔 투자라는 것이다. 이 회사는 지난 4일 학부 수준의 지식과 대학원 수준의 추론, 기초 수학 등 능력에서 오픈AI의 GPT-4를 능가하는 최신 AI모델 ‘클로드3′을 공개한 바 있다.
빅테크의 AI스타트업 투자 열풍에 앤스로픽의 몸값도 빠르게 치솟고 있다. 이번 아마존의 투자는 앤스로픽의 마지막 시장 평가액인 184억 달러(약 24조 8800억원)을 기준으로 성사됐다. 이 회사는 지난해 5차례 펀딩을 통해 73억 달러를 끌어모았고, 올해 4월에 마무리 될 것으로 예상되는 벤처캐피탈(VC) 대상 투자 라운드에서도 최소 7억 5000만 달러를 모금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지난 2월 MS로부터 1500만 유로를 투자 받은 ‘유럽의 오픈AI’ 미스트랄은 창업 10개월만에 기업 가치가 20억 유로(약 2조 8900억원)을 넘어서기도 했다.
아마존 웹서비스의 데이터 및 AI 담당 부사장인 스와미 시바수브라마니안은 “생성형 AI는 우리 시대의 가장 혁신적인 기술이 될 것”이라며 “앤스로픽과의 협업을 통해 고객 경험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믿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