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메모리(HBM)의 수율이 80%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율은 생산품 대비 정상품 비율을 뜻하는 말로 수율이 80%라는 말은 HBM 100개를 생산했을 경우 80개가 양품이라는 뜻이다.
22일 권재순 SK하이닉스 수율 담당 임원(부사장)은 파이낸셜타임스와 인터뷰에서 “(5세대) HBM3E 생산에 필요한 시간을 50% 단축할 수 있었다”며 “수율은 목표인 80%에 거의 도달했다”고 밝혔다. SK하이닉스가 수율 정보를 외부에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HBM은 D램 여러개를 수직으로 연결해 데이터 처리 속도를 혁신적으로 끌어올린 메모리로 AI 연산에 필수적인 칩으로 꼽힌다. SK하이닉스인 5세대인 HBM3E를 지난 3월 양산에 성공해 엔비디아에 공급하고 있다.
HBM은 기술적 난이도가 높아 수율을 높이는 것이 일반 메모리에 비해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일반 D램의 수율이 90% 수준인 것에 비해 HBM 수율은 65% 정도에 불과하다. 증권가에서는 SK하이닉스의 HBM3E의 수율을 60~70% 내외로 추정해왔다. 수율이 높을수록 생산에 들어가는 비용과 시간을 크게 줄여 수익성은 높아진다.
SK하이닉스는 견조한 수율을 바탕으로 HBM 사업에 박차를 가한다는 전략이다. 권 부사장은 “AI 시대에서 앞서 나가기 위해서는 수율을 높이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며 “올해는 고객들의 수요가 가장 높은 8단 HBM3E 생산에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