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올 3분기 영업이익이 시장 전망치를 밑도는 9조원대를 기록했다. 지난 2분기 2년 만에 회복한 ‘10조원 고지’에서 다시 내려왔다. 삼성전자 경영진은 사상 처음으로 실적과 관련한 사과문까지 발표하며 경영 쇄신 의지를 밝혔다.
국내 대표 기업 삼성전자를 둘러싼 위기론은 단지 숫자 때문은 아니다. 삼성전자를 상징했던 ‘기술적 초격차’와 품질에 대한 집요함, 목표 달성을 위한 조직적 치열함이 사라지고 있다는 게 더 본질적 원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삼성전자는 3분기에 매출액 79조원(연결 기준), 영업이익 9조100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8일 밝혔다. 지난 2분기 대비 매출은 6.66% 오른 반면, 영업이익은 12.84% 하락했다. 매출은 역대 분기 기준 최대였지만, 영업이익은 시장 예상치보다 15.5% 낮은 ‘어닝 쇼크’였다.
이날 잠정 실적에 반도체, 스마트폰, TV·가전 등 사업 부문별 내역은 나오지 않았다. 하지만 주력인 반도체 사업의 부진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파악된다. 증권가에서는 반도체 부문에서 5조3000억원 안팎의 영업이익을 낼 것으로 예상했으나, 이날 잠정 실적 발표 이후 일제히 4조원 안팎으로 예상치를 수정했다. 지난 2분기 6조4500억원에서 2조원 이상 적은 수치다.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 수장인 전영현 DS사업부문장(부회장)은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과로 걱정을 끼쳐 고객, 투자자, 임직원에게 송구하다”며 직접 사과문을 발표했다.
삼성전자가 사상 최대 매출과 9조원대 영업이익에도 반성문을 쓴 것은 반도체 사업의 경쟁력 하락과 이에 대한 시장의 불안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영업이익 부진도 인공지능(AI) 반도체인 고대역폭메모리(HBM) 납품 지연과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에서 대규모 적자가 직접적인 원인이다. 하지만 이를 돌파할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전 부회장이 “기술의 근원적 경쟁력 회복을 위해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한 이유다. 전문가들은 “삼성이 한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감안하면 삼성의 위기는 일개 기업의 문제가 아니다”며 “기술적 우위와 조직 문화 복원을 이끌 리더십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