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마트의 최고경영자(CEO) 더그 맥밀런의 아내 셸리가 주방에서 음식을 준비하다 “요리용 와인을 깜빡 잊었어”라고 말한다. 소파에서 축구를 보던 맥밀런 CEO는 와인을 주문했고, 15분도 채 안 돼 집 앞으로 드론이 와인을 배달했다. 모건스탠리 콘퍼런스에 참석한 맥밀런이 소개한 자신의 드론 배달 일화다.

중국 음식 배달 서비스 업체인 '어러머'의 직원이 배달용 드론을 살펴보고 있다. /뉴시스

드론 배달 시장이 본격 열리고 있다. 민간 기업들이 드론을 통해 음식뿐 아니라 소비재, 의약품까지 다양한 물품을 배달하고 있다. 드론의 가장 큰 장점은 무엇보다 빠른 배송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특히 섬이나 산간 지역처럼, 기존 교통수단으로는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도 빠르게 물건을 전달할 수 있다. 맥킨지에 따르면 2035년 미국 내 드론 배달 시장 규모는 50억달러(약 7조2000억원), 연간 배달 건수는 15억 건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은 지난달부터 애리조나주와 텍사스주에서 새로운 드론 ‘MK30’을 이용한 배달을 시작했다. MK30 드론은 이전 드론보다 두 배 더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고, 소음도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배송 중 하강하면서 위성사진에서 포착되지 않은 빨랫줄도 감지하고 이를 피해 이동할 수 있다. 장애물뿐 아니라 사람, 동물, 다른 물체를 정확히 구별하기 위해 인공지능(AI) 기술도 적용됐다. 패스트푸드 기업 웬디스도 지난 3월부터 버지니아주에서 음식 배달을 시작했다. 배달앱으로 주문을 누른 뒤 음식을 받기까지 평균 18분 정도 걸린다고 한다.

‘드론 강국’ 중국에서도 드론 배달이 활발하다. 중국 DJI가 최근 당국으로부터 최대 30kg을 실을 수 있는 ‘플라이카트30’의 허가를 받았다. 물건 없이 최대 28km, 물건을 가득 채워서는 16km까지 비행이 가능하다. 중국 음식 배달 기업 메이퇀은 베이징 외곽 만리장성까지 배달 서비스를 하고 있다. 메이퇀에 따르면, 드론은 바람과 비에도 비행할 수 있고 한 번에 최대 2.3kg을 배달할 수 있다. 요금도 일반 배달과 같은 4위안(약 800원)에 불과하다.

드론 배달은 의약품 배송에도 활용되고 있다. 세계경제포럼에 따르면 인도 산악 지역 등에 지금까지 650회 이상 비행해 총 1만여 개의 의료품을 배달했다. 세계경제포럼은 “지상으로 의약품을 운송하면 8시간이 걸렸지만, 드론은 직접 날아가 시간이 단 22분으로 단축됐다”며 “위급한 상황에서 생명을 구할 수 있었다”고 했다. 산골 지역 주민들이 병원을 직접 찾지 않아도 드론으로 약을 받아 치료할 수 있게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