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세계 최대 IT 박람회 ‘CES 2025′의 공식 개막을 하루 앞둔 6일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 베이 컨벤션 센터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그는 “로봇 공학의 ‘챗GPT 모멘트(moment)’가 오고 있다”고 했다. 2022년 말 생성형 AI인 ‘챗GPT’ 등장 후 AI 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한 것처럼 로봇 산업도 급속히 커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은 것이다./AFP 연합뉴스

2022년 말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 출시 후, AI는 엄청난 속도의 연산과 추론으로 산업·기술·과학 전 분야에 걸쳐 혁신적 변화를 몰고 왔다. 지금까지 PC라는 공간에 머물러 있던 AI는 이제 인간과 어울리며 일상의 공간으로 파고들고 있다.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7일 개막한 세계 최대 IT 전시회 ‘CES 2025’는 로봇이나 미래 도시 등의 형태로 AI가 인간과 공존하는 시간이 눈앞에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8년 만에 CES 기조 연설에 나선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6일 ‘로봇의 대중화’를 선언했다. 누구나 아이디어만 있으면 로봇을 개발할 수 있고, 폭발적으로 늘어난 다양한 형태의 로봇이 주변에 존재하게 된다는 것이다. 젠슨 황은 이를 위해 인공지능(AI) 로봇 개발 플랫폼 ‘코스모스’를 발표하며 대중에 무료 개방하겠다고 밝혔다. ‘코스모스’는 개발자들이 AI 로봇을 개발할 때 사용할 수 있는 AI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아이디어만 있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만큼, AI 로봇 개발이 더 이상 빅테크의 전유물이 되지 않는 것이다. 5년 만에 CES 무대에 선 도요타 자동차의 도요다 아키오 회장은 AI로 움직이는 미래 도시 ‘우븐 시티’ 프로젝트의 중간 결과를 발표했다. 사람과 건물, 이동수단들이 모두 AI로 촘촘히 연결된 도시다. 올가을쯤 1차 입주가 시작된다. 거대 기술만 있는 것은 아니다. AI로 인간의 오감을 모방한 로봇개도 등장했다. 올해 CES의 주제는 ‘다이브인(Dive in)’, 몰입이다. 기술로 새로운 세계에 몰입한다는 뜻과 함께 기술이 인류의 삶 속으로 들어온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CES 특별취재팀]

변희원 팀장, 윤진호·오로라·이영관·박지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