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로운(harmful) 짓을 하는 것은 인간이지, 기계는 기계일 뿐이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7일 ‘CES 2025′ 기자 간담회에서 인간을 뛰어 넘는 ‘초지능 AI’의 위험성을 우려하는 질문에 “기술은 물론 여러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기술의 발전이 해로운건 아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황 CEO는 전날 CES 기조연설에서 “로봇의 ‘챗GPT 모먼트(moment·순간)’가 온다”고 말하며, 엔비디아의 기술로 로봇 확산을 가속시키겠다는 의지를 밝혔다.그는 이날 “로봇은 이쪽(인간)편”이라며 “우리가 그렇게 설계(build)할 것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는 이날 “AI발전에는 물리적 한계가 전혀 없다”고 했다. “그래픽처리장치(GPU), 중앙처리장치(CPU)와 같은 반도체를 여러 회사가 나누고 통합해야했다는 한계가 생길지 모르지만, 엔비디아는 모든 것을 설계하기 때문에 매년 성능이 크게 향상된 제품을 내놓을 수 있었다”고 했다. 반도체와 인공지능(AI)의 발전이 곧 한계에 부딪힐 것이라는 일각의 전망을 부인한 것이다. 젠슨 황은 “반도체 진화의 어려움 같은 물리적인 이유로 컴퓨팅 발전이 멈추진 않을 것이고, 따라서 AI가 앞으로도 지금처럼 빠르게 발전할 것이라 본다”고 했다.
그는 높은 AI훈련·추론 비용 문제 역시 “반도체의 진화로 해결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최신 AI가속기는 전작 대비 성능이 30~40배는 좋아졌는데, 이는 반대로 AI 개발 비용이 30분의 1, 40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든다는 것”이라며 “지난 20년 동안 우린 반도체의 발전을 통해 컴퓨팅의 한계 비용을 100만분의 1로 낮췄고, 앞으로도 계속해서 반도체 성능을 높여 비용을 낮출 것이다”라고 했다.
지난해부터 본격 출시된 AI PC가 빠르게 확산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 황 CEO는 “AI가 클라우드(가상 서버)에서 시작됐고, 클라우드를 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는 “AI모델을 훈련시키기 위해 수퍼컴퓨터가 필요하고, 그렇게 만들어진 AI 서비스는 클라우드에서 배포하는게 더 쉬울 수 밖에 없었다”라며 “하지만 우리의 반도체 역량으로 더 많은 AI를 PC에서 쓸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CES 특별취재팀
변희원 팀장, 윤진호 기자, 오로라 기자, 이영관 기자, 박지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