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지난해 역대 최대 수준의 매출을 기록했다. 다만 수요 부진과 경쟁 심화에 따른 마케팅비 증가 등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소폭 줄었다. 4분기 영업이익도 시장 기대치를 밑돌았다.

8일 LG전자는 2024년 매출 87조 7442억원, 영업이익 3조 4304억원의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은 전년(82조2627억원)보다 6.7% 올랐고 영업이익은 전년 3조6533억원 대비 6.1% 줄었다. LG전자 측은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소비 위축 등 악조건 속에서도 최대 매출액을 경신했다는 데 의미를 둔다”고 했다.

잠정 실적에는 사업 부문별 세부 실적은 공개되지 않는다. LG전자는 생활가전 부문에서 30조원, 전장 부문에서 10조원 매출을 기록했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생활가전에선 인공지능(AI)이 탑재된 제품의 인기, 구독 서비스와 D2C(소비자 직접 판매) 등의 전략이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4분기 실적은 시장 전망치를 밑돌았다. 이 기간 매출 22조7775억원, 영업이익 1461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증권가 전망치(2537억원)를 43%가량 밑돌았다. 전년 동기 영업이익(3125억원)과 비교해도 54%가량 줄었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을 뜻하는 영업이익률 하락세도 풀어야 할 숙제다. 영업이익률은 2020년 6.7%이었으나, 2021년 5.5%, 2022년 4.3% 등 감소세를 보이며 작년엔 3.9%로 떨어졌다. LG전자는 영업이익 감소의 원인으로 해상운임 급등과 마케팅비 증가를 꼽았다. 전자제품 수요 회복이 예상보다 지연되고 있는 데다 원재료비가 상승하고 있는 점도 영업이익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LG전자는 올해 사업 포트폴리오 혁신에 기반해 질적 성장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올해는 구독 사업의 영역을 태국·인도 등으로 확대한다. TV 사업은 해외 지역별 수요에 따라 신흥국의 대중 소비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LG전자 관계자는 “품질, 원가 등 사업의 근원적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면서 건전한 수익 구조 확보에 총력을 기울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