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가 차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를 향해 인공지능(AI) 비전을 제시하고 나섰다. 미국이 AI기술에서 갖추고 있는 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면서, 차기 정부와의 협력관계를 다지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트럼프가 바이든이 서명했던 ‘AI행정명령’을 파기하고 새로운 규제를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적극적으로 논의에 참가하겠다는 것이다.
13일 오픈AI는 ‘경제 청사진(Economic Blueprint)’이라는 15장 분량의 제안서를 통해 “AI 경쟁에서 있어 칩, 데이터, 에너지는 반드시 이겨야할 경쟁”이라며 “미국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모든 주에서 똑같이 적용될 수 있는 규칙을 마련하기 위해 지금부터 행동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제안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오는 20일)을 6일 앞두고 나왔다.
오픈AI는 제안서에서 “AI는 독재자가 이끌기엔 너무 강력하고, AI의 경제적 기회는 포기하기엔 너무 매력적”이라며 “이 청사진은 오랫동안 미국 혁신 생태계의 핵심이었던 기업가 정신과 개인의 자유를 지원하도록 설계됐고, 우리는 정책 입안자들과 함께 AI의 혜택이 공평하게 나눠지도록 돕고 싶다”고 했다.
오픈AI는 해외서 미국이 적극적인 AI투자금을 유치해야한다고 주장했다. 회사는 “AI프로젝트에 대한 투자를 기다리는 전세계 기금의 규모는 1750억 달러로 추산되고, 미국이 이런 자금을 유치하지 못할 경우 중국으로 흘러가 중국 공산당의 영향력을 강화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뉴욕타임스는 “바이든 정부가 꺼려했던 중동 투자금을 적극적으로 유치해야 한다는 의미”라며 “중국 공산당을 언급하며 트럼프 정부의 관심을 끌고 나섰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오픈AI는 AI에 대한 규제가 연방 정부 차원에서 통일되게 만들어져야 하며, 규제 내용은 간단하고 명확해야한다고도 주장했다. 우선 오픈AI는 AI가 ‘공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정보’를 학습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한다고 했다. 오픈AI가 수많은 저작권 소송에 직면한 상황에서, 사실상 이들의 AI훈련 방식이 큰 틀에서 문제가 없는 것으로 여겨달라는 것이다. 오픈AI는 “미국 기업이 만든 AI 제품에 대한 규제를 만들 때 관대한 접근 방식을 취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이어 오픈AI는 AI모델에 대한 수출 통제안이 적대국의 접근은 차단하는 반면 “동맹국과 파트너에게 첨단 AI모델을 제공해 미국 기술에 기반한 AI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한다”고도 했다. 오픈AI는 “연방 정부의 고급 AI 모델에 대한 안전 및 보안에 대한 요구 사항은 간단 명확해야한다”며 “그래야만 동맹국과 파트너에 책임감 있게 모델을 수출할 수 있다”고 했다.
오픈AI는 또 미 전역에서 새로운 데이터 센터 건설을 구축하는 과정을 간소화하고, 규모를 크게 확대해야한다고도 제안했다. 데이터센터를 가동시키는 에너지 마련을 위해 관련 연방 지출을 ‘극적으로’ 늘려야 하며, 태양광, 풍력 발전소, 핵발전과 같은 ‘새로운 에너지원’을 의미 있게 구축해야한다고도 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오픈AI 최고경영진은 이달 말 워싱턴DC에서 차기 정부의 정책 입안자들을 위한 모임을 개최하고, AI를 위한 규제법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어 몇 달 안에 펜실베이니아, 노스캐롤라이나, 앨라배마 등에서 이벤트를 개최하며 새로운 AI프로젝트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 같은 일련의 활동은 AI를 중심으로 결제 활동을 촉진하는 ‘미국을 위한 혁신’이니셔티브의 일환이라고 오픈AI 측은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