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저비용·고성능’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의 등장에도 오픈AI의 챗GPT 이용자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브래드 라이트캡 오픈AI최고운영책임자(COO)는 CN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2월 기준 챗GPT 주간 활성 이용자 수(WAU)는 4억명에 이른다”고 했다. 챗GPT의 이용자는 지난해 8월 2억 명, 지난해 12월 3억 명에서 4억명까지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다.
라이트캡 COO는 “사람들이 입소문이나 친구들이 이를 사용하는 것을 보고, 유용성을 확인하고 있다”며 “개인적으로 챗GPT를 사용한 이용자들은 회사에 이 도구를 사용하도록 제안하고 있다”고 했다. 이용자가 늘어나면서 기업 고객까지 더불어 많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오픈AI의 기업 고객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 라이트캡 COO는 현재 유료 기업 이용자 수는 200만 명으로, 6개월 전보다 두배로 늘었다고 했다. 주요 고객으로는 차량 공유업체인 우버,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 제약회사 모더나, 미국 통신업체 T-모바일 등이 있다.
이와 함께 개발자 고객도 늘었다. 특히 추론 모델인 ‘o3’의 경우 단기간 이용자가 5배 늘어났고, 전체 개발자 고객은 지난해 6월 대비 두 배로 증가했다고 했다. 딥시크가 오픈AI의 모델의 10분의 1도 안되는 개발 비용을 적용한 AI모델을 내놓았지만, 여전히 개발자들은 데이터 보안이 보다 확실하고 성능이 우수한 오픈AI의 모델을 선택하고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