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지난 분기에 1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다만 물류비와 원자재 비용 상승 등으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하락했다.
LG전자는 지난 1분기 매출 22조7447억원, 영업이익 1조2590억원의 잠정 실적을 7일 발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8%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5.7% 줄었다. LG전자는 “1분기 매출이 22조원을 넘긴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했다. 사업본부별 경영 실적은 이달 말 발표 예정이다.
1분기 최대 매출은 기존 주력 사업의 성장과 함께 기업 간 거래(B2B), 구독 사업 등이 선전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아파트·주택 건축 때 주로 설치되는 빌트인(매립형) 가전 사업과 모터·컴프레서 등 부품 사업이 실적에 기여했다. LG전자가 B2B 사업의 핵심으로 육성 중인 냉난방 공조(HVAC) 사업도 올해 1분기에 전년 동기 실적을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상업용 공조 시스템 분야와 상업용 디스플레이 사업에서도 대규모 해외 수주가 이어지고 있다.
제품 판매와 서비스를 결합한 구독 사업의 성과도 커지고 있다. LG전자는 “올해는 구독형 제품군을 보강하고 케어 서비스를 강화할 계획”이라며 “동시에 구독 사업의 해외 진출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사업에서는 LG전자의 자체 개발 운영체제(OS)인 ‘웹OS’를 기반으로 한 광고·콘텐츠 사업이 성과를 내고 있다.
1분기 영업이익은 6년 연속 1조원을 넘었다. 하지만 이번 분기는 지난해보다 5.7% 하락했다. 물류비와 원자재, 인건비 등 비용 증가로 인해 수익성이 떨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LG전자는 올해 AI 기능을 강화한 TV와 에어컨 신제품을 출시해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AI 기능을 탑재한 LG 휘센 스탠드 에어컨의 판매량 증가로 경남 창원 에어컨 생산 라인은 조기에 100% 가동에 들어갔다. 전장 사업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차량 정보+엔터테인먼트)를 중심으로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를 확대하고 차량용 콘텐츠 플랫폼 등으로 사업 모델을 다각화한다는 구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