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 모델을 다른 기업도 이용할 수 있도록 ‘오픈 소스(개방형)’로 공개한다. 오픈 소스는 소프트웨어 설계도라 할 수 있는 ‘소스 코드’를 대외적으로 공개해 누구나 내려받아 수정·배포할 수 있게 개방하는 것으로, 폐쇄형 AI 모델과 반대 개념이다. 딥시크·메타가 ‘오픈 소스’, 오픈AI·구글이 폐쇄형 방식을 하고 있다.

네이버의 AI 개발을 총괄하는 계열사 ‘네이버클라우드’는 최근 개발을 끝낸 경량화 AI 모델 ‘하이퍼클로바X 시드’를 공개하며 이를 오픈 소스로 무료 제공하겠다고 23일 밝혔다. 이 회사 관계자는 “연구용으로만 사용 가능했던 기존 국내 기업들의 오픈 소스 모델과 달리 상업 목적으로도 무료 이용할 수 있게 개방했다”고 말했다. 국내외 기업과 연구기관 등에서는 해당 모델을 내려받아 필요에 맞게 조정해 사업과 학술 연구에 이용할 수 있다.

네이버는 1조원이 넘는 자금을 투입해 자체 개발한 대형 언어 모델(LLM) ‘하이퍼클로바X’를 그동안 자사 서비스에만 탑재하는 등 폐쇄적인 방식으로만 운영해왔다. 하지만 최근 생성형 AI 모델 성능이 상향 평준화되면서 다양한 모델을 병용하거나 골라 쓰는 사업 모델이 많아졌고, 미국과 중국 기업들이 뛰어난 성능의 ‘오픈 소스’ 모델을 앞세워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자, 네이버도 AI 전략을 바꾼 것이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국내 AI 생태계의 체력을 키우고, 국가적 기술 자립 기반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는 올 상반기 중으로 기존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개발 중인 추론 모델도 새롭게 공개할 예정이다. 추론 모델은 사전 학습된 데이터 기반의 단순 정보 제공이 아닌, 논리적인 사고 과정을 통해 학습 데이터에 없는 새로운 답까지 내놓을 수 있는 AI 모델을 말한다. 네이버클라우드 관계자는 “공개 예정인 추론 모델은 명령어를 입력하면 검색이나 예약 등 적합한 도구를 알아서 선택해 명령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