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미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한 대응으로 미국으로 수입하는 아이폰 전량을 인도에서 생산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나왔지만, 이 같은 시도가 부품 공급과 숙련 인력 부족 등으로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현재 미국에서 팔리는 아이폰의 약 87%는 중국산인데, 트럼프 정부가 중국에 145% 관세 부과 방침을 밝히면서 미국 내 아이폰 가격 상승에 대한 우려가 크다. 이 때문에 애플은 아이폰 생산 기지를 중국에서 인도로 옮기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26일 미국 CNBC 방송에 따르면 시장분석업체 모펫네이선슨의 유명 분석가 크레이그 모펫은 “애플이 조립 공정을 인도로 이전한다 해도 공급망은 여전히 중국에 있다”며 인도 생산 계획이 비현실적이라 지적했다. 중국 정부가 자국 기업들의 부품 수출에 제한을 둘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최근 중국 정부는 애플의 협력사들이 아이폰 조립용 기기들을 인도로 옮기려는 수출 허가를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은 지난해 인도에서 4000~4300만대의 아이폰을 생산한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에서 매년 소비되는 아이폰의 수는 6000만대 안팎이다. 미국과 인도의 수요를 감안하면 인도의 아이폰 생산량을 지난해 2배 수준인 8000만~8500만대로 단숨에 늘려야 한다. 필요한 부품과 기기들을 중국에서 대량 반출하는 것이 어렵다면, 단기간 생산 확대는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수율(완성품 중 양품 비율)도 문제다. 미국 IT 매체 와이어드는 “인도에서 아이폰을 생산하는 타타그룹의 공장 수율은 50%에 불과하다. 부품의 절반이 애플의 엄격한 품질 검사를 통과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이는 인도의 인력이 중국 대비 훨씬 덜 숙련됐음을 보여준다”고 전했다. 인도에서 빠르게 생산량을 확대하려면 중국 공장의 엔지니어를 데려와 라인을 설치하고, 숙련공들을 불러 공정 전반을 개선해야 한다. 이를 막기 위해 중국 정부가 이들에 대해 비자 발급을 거부할 가능성도 있다.
한편 관세에 따른 수입 비용 증가보다 전체적인 경기 침체를 우려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크레이그 모펫은 “(무역 전쟁으로 인한 경제 불안으로) 전반적인 아이폰 판매가 줄어드는 게 궁극적으로 애플에 더 문제가 될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