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LY BIZ 뉴스레터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146096
최근 미국과 각을 세우는 반미 국가들이 가상화폐 생태계를 위협한다. 가상 화폐 분석 업체 체이널리시스에 따르면 북한과 러시아, 이란이 가상화폐 관련 범죄를 주도하고 있다. 가상화폐 업계를 흔드는 어둠의 세력인 셈이다.
이 중에서도 가상화폐 업체들을 공포에 떨게 하는 가장 유명한 악당은 ‘북한’이다. 지난해 1월부터 11월 사이 북한 해커들은 가상화폐 거래소 등에서 13억3700만달러어치 가상화폐를 훔쳤는데, 전체 가상화폐 ‘절도’ 피해의 61%(금액 기준)가 북한 해커의 소행이었다. 앤드루 피어먼 체이널리시스 국가안보정보 총괄은 WEEKLY BIZ 인터뷰에서 “북한은 이렇게 훔쳐간 가상화폐를 팔아 얻은 자금으로 대량살상무기나 미사일을 개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했다. 가상화폐를 탈취하는 것도 문제지만, ‘장물’을 팔아서 무기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는 뜻이다.
◇반미 국가의 놀이터 된 가상화폐
-가상화폐와 관련한 범죄를 저지르는 국가는 어떤 곳이 있나.
“북한이 가상화폐 거래소 등을 해킹해 가상화폐를 훔쳐가는 형태의 범죄를 가장 많이 저지르는 ‘국가 범죄자’다. 러시아는 제재 회피, 랜섬웨어 공격, 허위정보 유포 등에 가상화폐를 활용해왔다. 이란 혁명수비대 쿠드스군은 수억 달러 규모의 불법 활동을 저지르는데 가상화폐를 이용했다.
-미국과 지정학적 갈등을 겪는 국가들이 많은 것 같은데.
“북한, 러시아, 이란이 국제정치 무대에서 미국과 껄끄러운 사이인 것은 맞는다. 다만 국가별로 가상화폐 생태계를 침범할 때 쓰는 전술이나 기법엔 차이가 있다. 북한은 가상화폐 거래소를 직접 해킹하는 것으로 악명이 높다. 러시아는 랜섬웨어 공격과 같은 사이버 범죄를 벌일 때 가상화폐를 일종의 매개로 쓴다. 이란은 국내적으로는 성숙한 가상화폐 생태계를 가지고 있는데, (이란이 국제 사회에선 제재를 당하다 보니) 이란 혁명수비대가 자금 세탁 과정에서 가상자산을 사용하고 있다.”
-테러단체 같은 비국가 행위자보다 정부가 주도한 가상화폐 범죄가 더 자주 일어나는가.
“(국가나 국가 외 행위자 등) 다양한 불법 행위자들이 가상화폐를 그들의 범죄 행위에 동원한다. 다만 이들이 가상화폐를 다루는 기술적 정교함에는 큰 차이가 있다. 아무래도 정부가 뒷배가 되어주는 집단은 자금력이나 훈련 수준에서 앞서 있다. 더 많은 지원은 더 교묘한 범죄 활동으로 이어지는 셈이다.”
◇가상화폐 업계 공공의 적 ‘북한’
-북한 해커들의 가상화폐 거래소 공격이 늘어나고 있는 것 같은데.
“북한 해커들은 가상화폐 거래소 등을 공격할 방법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있다. 과거에는 탈중앙화 금융(DeFi) 생태계를 주로 공격했는데, 올해는 중앙화 금융(CeFi·제도화된 가상자산 거래소에서의 가상화폐 거래)을 겨냥하고 있다. 지난해 5월엔 일본 가상화폐 거래소 DMM 비트코인에서 3억5000만달러(약 5000억원)어치 가상화폐를 탈취했다. 같은 해 7월에는 인도 거래소 와지르X가 타깃이 됐다. 북한 해커들은 와지르X에서 2억3490만달러어치 가상화폐를 훔쳤다.”
-어떤 북한 해커들이 가상화폐를 노리고 있나.
“라자루스 그룹, 김수키, 110호 연구소 등 여러 북한 해킹 그룹이 가상자산 거래를 노렸다. 이들은 (코로나 사태 이후) 재택근무 기회가 늘어났다는 점을 노린다. 평범한 IT 기술자 같은 가짜 신분으로 가상화폐 거래소에 취직한 다음 자신들이 파악한 보안 취약점을 공략해 가상화폐를 훔치고 있다.”
-북한이 가상화폐 해킹이 집중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유엔은 북한이 가상화폐 기업을 공격해 얻은 수익으로 대량살상무기를 만들고, 탄도미사일을 개발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넓게 보면 북한의 가상화폐 해킹은 북한의 제재 회피 노력의 일환이다. 북한은 해외 근무 근로자의 수입을 통한 외화 확보, 선박을 활용한 우회 수출입, 해외 위장 회사 설립 및 운영으로 제재를 피해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가상화폐가 범죄에 동원되거나, 범죄의 타깃이 되는 사례가 많은 것 같은데.
“가상자산이 주로 불법적인 활동에 많이 사용된다는 건 오해다. 많은 신기술이 그렇듯 초기에는 범죄자들이 많이 이용했고, 이것이 처음에는 나쁜 평판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의 투명성 덕분에 궁극적으로는 불법 활동을 추적·차단하는 게 (기존의 다른 거래 수단과 비교하면) 더 용이하다. 불법 활동과 관련한 가상화폐 거래 비율도 2023년 전체 0.61%에서 지난해 0.14%로 줄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WEEKLY BIZ 뉴스레터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1460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