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를 패러디한 한 유튜버 영상에 네티즌들이 공분하고 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지고 있는 주인공 ‘우영우’를 따라하는 모습이 장애인을 희화화하는 것처럼 비쳤기 때문이다.
지난 18일 유튜버 ‘우와소’는 자신의 채널에 ‘이상한 와이프 우와소’라는 제목의 쇼츠를 올렸다. 해당 영상에서 우와소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주인공 ‘우영우’ 말투와 행동을 따라 하며 “여보 식사하세요” “식사를 하지 않으면 저는 남편을 굶기는 아내가 되고 그것은 내조의 실패가 되어 건강한 가정을 이룰 수 없습니다” “밥은 마음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마음에 따라 메뉴가 바뀝니다” 등의 말을 했다.
영상을 본 네티즌들은 ‘실제 장애를 가진 사람에 대한 실례’라며 비판했다. 이들은 해당 영상에 “자폐인을 따라 하고 희화화하라고 드라마를 만든 게 아닐 거다” “자폐 스펙트럼을 겪는 사람의 행동과 말투를 따라 하는 건 조롱이다” “이런 식으로 소비하라고 만든 드라마가 아닌데 다 큰 성인이 뭐 하는 거냐” 등의 댓글을 남겼다.
논란이 불거지자 이날 우와소는 유튜브 커뮤니티 게시판에 해명 글을 올렸다. 우와소는 글에서 “오늘 올린 ‘이상한 와이프 우와소’의 영상 관련해서 제 생각을 남긴다”며 “우선 불편해하는 분들이 많은 것 같은데 저는 모든 분의 의견을 존중한다. 불편할 수 있다. 사람마다 시야가 다르고 가치관이 다르니 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우와소는 “’이상한 와이프 우와소’ 영상은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주인공인 ‘우영우’의 캐릭터를 따라 해 저희 스타일로 패러디한 영상”이라며 “영상을 보고 재밌어하시는 저희 구독자분들 중 누구도 ‘자폐증상’을 따라 해서 재밌다거나, ‘자폐증상’이 웃기다거나, ‘자폐증상’을 비하하는 걸 재밌어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이어 “만약 저희가 ‘자폐증상’ 그 자체를 우스꽝스럽게 희화화한 거라면 아무리 저희를 좋아하는 구독자분들이더라도 용납하지 않았을 거다. 따라서 이런 오해는 하지 말아달라”고 덧붙였다.
우와소는 또 자폐 스펙트럼을 가진 인물을 따라하는 것에 대한 옳고 그름의 판단은 가치관의 차이에 따라 나뉜다고 주장했다. 우와소는 “저는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자폐증상을 가진 사람들에 대해 친근하고 귀엽고 사랑스럽고 좋은 이미지를 만들어준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오늘 올린 영상도 ‘우영우’ 캐릭터의 사랑스러운 모습과 제 와이프의 사랑스러운 모습을 함께 담아내어 자연스러운 웃음을 유도하고자 했다. 결코 장애에 대한 비웃음이나 비하의 의도는 없다”고 주장했다. 끝으로 “저는 오히려 장애를 너무 신성 불가침 영역으로 삼으면 그들이 더욱 더 고립될 거라고 생각한다”며 “불필요한 오해 없길 바란다”고 적었다.
우와소가 직접 해명 글을 올렸지만, 비난 여론은 가라앉지 않았다. 네티즌들은 “비장애인이 장애인을 ‘귀엽다’고 따라 하는 것 자체가 이상한 거다” “우스꽝스럽고 아니고는 행위자(우와소)가 판단할 문제가 아니다” “제작자의 의도가 무엇이든 결과는 잘못됐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편 드라마 속 ‘우영우’를 따라 한 콘텐츠를 제작해 논란의 도마 위에 오른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18일 유튜브 ‘미선짱’ 채널에도 ‘우영우병’이라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와 한차례 논란이 된 바 있다. 미선짱은 영상에서 “변호사 우영우에 과몰입한 친구 특징”이라며 “눈을 과하게 동그랗게 뜬다” “안 쓰던 헤드셋을 쓰고 다닌다” “갑자기 고래가 좋아졌다” “김밥을 세로로 먹는다”고 소개했다.
영상에 대한 비판이 불거지자 미선짱은 영상 제목을 ‘친구야, 우영우에 너무 과몰입한 거 아니니?’로 변경하고 “이 영상 속에서 저는 우스꽝스러운 모습을 하지도, 비하하지도 않았고 모든 자폐를 가지신 분들이 이런 행동을 한다고 유머로 소비한 것도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그런데도 네티즌들은 “우리 가족에 자폐가 있는 사람이 있었다면 영상 보고 기분 상했을 것 같다” “자폐인 흉내 내면서 귀엽다고 생각하는 게 충격이다” “영상 내려달라” 등의 반응을 보이며 비판을 이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