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일 중국 외교부의 화춘잉 대변인은 “‘강제노동'은 중국 당국과 기업들을 억제하고 중국의 발전을 막으려는 세기의 최대 거짓말”이라고 트윗했다. 그리고 베이징에서 열린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이슈와 관련한 외신 기자회견 내용을 담은 장문의 웹 페이지를 첨부했다. 기자회견장에 나온 이곳의 근로자들은 “생활 조건이 매우 좋다”고 기자들에게 말했다.
하지만 중국 정부의 이러한 주장은 유엔과 국제 인권단체, 미국 정부의 평가와는 정반대이다. 유엔 인종차별제거 위원회 측은 2018년 8월에도,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약 200만 명의 위구르 족과 무슬림 인구가 강제적으로 사상을 주입하는 정치 수용소에 수용돼 있다고 추정한 바 있다. 이 위원회는 “100만 명의 위구르 인들이 비밀리에 대규모 강제수용소에 수용돼 있다” 신빙성 있는 보고를 받았다”고 밝혔다.
주미(駐美) 중국 대사관이 지난 12일에도 “극단주의를 제거하면서, 신장 위구르 여성들의 정신이 해방되고, 성(性)평등성과 출산 관련 건강이 증진돼 더 이상 ‘아기 낳는 기계’가 아니게 됐다”고 트윗했다. 그러자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이 트윗에 “위구르 여성들은 강제 임신중절과 불임(不妊)조치로부터 ‘해방’되지 않았다”고 반박하는 트윗을 냈다.
그러나 폭스 뉴스가 중국 정부 트위터 계좌에 대해 질문하자, 트위터 대변인은 이 중국 정부의 트윗들은 “트위터의 정책을 위반하지 않았다”며 “사람들이 다른 나라의 입장에서 지정학적 이슈를 논하는 트위터 계좌를 볼 때는 그 계좌가 어느 나라의 것인지 맥락을 알고, 그들이 대표하는 사람들에 대해 더 잘 알게 된다”고 밝혔다. 트위터 사의 계좌 검열·제한 정책은 그간에도 종종 논란이 됐지만, 지난 6일의 미 의회의사당 폭력적 난입 사건 이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계좌를 폐쇄하면서 더욱 주목을 받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