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에서 넷째로 큰 야당인 ‘신민주동맹(Neo Democrats)’이 26일 홍콩 내 정치 환경 악화를 이유로 자진 해산했다. 홍콩보안법 시행 1주년(7월 1일)을 앞두고 지난 24일 반중(反中) 성향의 신문 빈과일보가 자진 폐간한 데 이어 반중 성향 정당도 문을 닫은 것이다.
신민주동맹은 26일 공식 페이스북에 올린 공지문에서 홍콩 내 정치 환경 악화를 이유로 이날 해산한다고 발표했다. 신민주동맹은 “홍콩은 지난 2년간 급격한 변화를 겪었고 정치 환경은 이전보다 훨씬 악화됐다”며 “홍콩보안법 시행으로 여러 당원들이 수감됐고, 당국은 공직자(구의회 의원)에 대한 충성 서약을 강요하고 있다”고 했다.
신민주동맹은 뿌리부터 ‘반중’이다. 2010년 홍콩 제1야당인 민주당이 중국 국무원(정부) 산하 중앙연락판공실과 정치 개혁 방안 협상에 참여하는 데 불만을 가진 인사들이 탈당해 결성했다. 결성 당시 당원 전원이 홍콩에서 태어나고 자란 토박이였고, 당명(黨名)은 1990년 반중 인사들이 주축이 돼 설립된 홍콩 최초 민주 정당인 ‘홍콩민주동맹’에서 따왔다. 이후 ‘민생은 사소한 문제가 아니고, 민주를 지켜야 한다(民生無小事 民主要堅持)’는 슬로건을 내걸고 중도 성향 민주 정당을 표방해왔다. 그러나 지난해 6월 30일 홍콩보안법 시행 이후 소속 정치인들이 타깃이 되며 당세가 급격히 기울었다. 2019년 11월 구(區)의회 선거에서 배출한 19명의 구의원은 해체 당시 8명밖에 남지 않았다. 소속 구의원들이 압박에 못 이겨 의원직을 사임하거나 탈당했기 때문이다.
신민주동맹을 포함한 홍콩 범민주 진영은 빠르게 세력이 위축되고 있다. 홍콩 제2야당인 공민당은 지난 20일 소속 구의원이 32명에서 5명으로 줄어들었다. 체포와 기소 등에 따른 탈당에 이어 20일에만 11명이 한꺼번에 탈당해버린 결과다. 향후 체포·기소될 소지가 있는 자가 당에 남아있을 경우, 당 전체의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했기 때문이다. 홍콩 보안 당국은 앞서 전직 입법회(국회 격) 의원을 포함한 범민주 진영 인사 47명을 홍콩보안법 위반 혐의로 기소했다. 다음 달에는 구의원을 대상으로 공직자 충성 서약을 실시하는데 범민주 진영 의원 상당수가 서약을 거부할 것으로 보여 150명 이상이 의원 자격을 잃을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