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정보당국이 중국의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에서 나온 유전자 데이터를 대량 입수해 분석 중이라고 CNN이 5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이들이 분석 중인 데이터에는 해당 연구소에서 취급했던 바이러스 샘플에서 추출한 유전자 청사진 등이 포함돼있는데, 이것들이 코로나 발병의 원인일 수 있는지 들여다보고 있다는 것이다. 한 관계자는 “유전자 염기 서열, 데이터베이스 항목, 샘플의 출처, 샘플이 수집된 시간 등 모든 정보를 살펴보고 있다”고 했다.
보도에 따르면 데이터 분석팀은 코로나가 어떻게 동물에서 인간으로 옮겨갔는지 연결고리를 찾고 있다. 코로나가 실험실에서 유출되었을 경우, 야생 동물로부터 인간으로 옮겨갔을 경우 등 여러가지 가능성을 놓고 살펴보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앞서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에서 연구 중이었던 2만2000개의 바이러스 샘플에서 유전자 데이터를 찾아낸 바 있다. 해당 데이터는 2019년 9월 중국 관리에 의해 삭제된 바 있으며, 중국은 코로나 초기에 이 데이터를 비롯해 기타 원 데이터를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에 넘기는 것을 거부한 바 있다.
그러나 연결고리를 밝히는 것만으로는 코로나가 우한의 실험실에서 유래했는지 아니면 자연적으로 발생했는지를 확실하게 증명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고 관계자들은 보고 있다.
이번 분석은 90일 내에 코로나의 기원을 밝혀내라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지난 5월 지시에 따라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고 CNN은 분석했다. 정보당국은 17곳의 정부연구기관으로 구성된 국립 연구소의 슈퍼컴퓨터를 동원하고 있다.
다만 미국이 해당 데이터를 어떻게 입수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한 경로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CNN은 일반적으로 데이터는 외부 클라우드 기반 서버에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해킹을 했을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