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백신 중 화이자와 모더나를 제외한 다른 백신들은 코로나 새 변이인 오미크론의 감염을 막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9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아스트라제네카, 얀센을 포함해 중국의 시노백·시노팜, 러시아의 스푸트니크 등은 오미크론 감염을 전혀 혹은 거의 막지 못한다는 것이다.
영국에서 실시된 예비 효과 연구에 따르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백신 접종 후 6개월이 지나면 오미크론 감염을 막을 수 있는 능력이 없다. 인도에서 예방 접종을 받은 사람들의 90%가 아스트라제네카를 맞았으며 아프리카 전역에서도 이 백신은 널리 사용됐다.
중국의 시노팜과 시노백도 오미크론을 전혀 방어할 수 없다. 대부분의 중국인을 포함해 멕시코, 브라질에 있는 사람들은 이 백신을 접종받았다. 연구진은 아프리카와 중남미에서 사용되고 있는 러시아의 스푸트니크 백신도 오미크론을 방어할 수 없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현재까지 연구 결과를 보면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은 신 mRNA 기술이 적용돼 모든 변이에 감염에 대한 최적의 보호 효과를 일관되게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존스홉킨스 블룸버그 공중보건스쿨의 톨버트 응엔스와 선임 연구원은 “화이자와 모더나 외 백신인 비 mRNA 백신에 의존해온 남반구 국가들에 대한 새로운 위협은 부유한 국가들이 백신 기술을 공유하거나 중저소득 국가의 생산기지 건설을 돕지 않은 잘못의 결과물”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