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키 리라화 가치가 폭락하면서 헤이즐넛이 주된 원료인 누텔라 잼의 공급난이 우려된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0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리라화 위기로 전 세계 헤이즐넛의 70%를 생산하는 터키 농가가 생산량을 줄이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전 세계적인 금리 인상 기조와 반대로 터키 정부가 기준 금리를 연속 인하하면서 리라화 가치는 반 토막이 났다. WSJ는 “터키의 헤이즐넛 산업은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의 ‘도박’이 세계 곳곳에 미칠 영향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면서 “헤이즐넛 농가는 점점 가난해지고 있으며 헤이즐넛 공급 감소는 누텔라 잼의 가격을 상승시킬 것”이라고 경고했다.
WSJ에 따르면 리라화 가치 폭락으로 수입하던 비료·씨앗·농약 등의 비용이 급등하면서 터키 농가들은 헤이즐넛 생산을 줄이고 있다. 지난해 1톤당 215달러였던 수입 비료 가격이 650달러로 3배가량 치솟기도 했다. 터키 정부가 물가 상승률 21%에 비례해 내년도 최저임금을 50% 인상하기로 결정하면서 인건비 부담도 더 커졌다.
이에 따라 업계 관계자들은 헤이즐넛 수입량의 3분의 1을 터키에 의존하는 누텔라 생산 업체 페레로에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터키 기업의 미국 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컨설턴트 투르간 쥘피카르는 “여러분이 누텔라의 팬이라면, 다음번 마트에 갈 때 누텔라를 사서 쟁여두라”고 했다.
잇따른 기준금리 인하로 리라 가치가 계속해서 떨어지는데도 에르도안 대통령은 저금리 정책을 고수해왔다. 경제 성장을 위해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는 에르도안 대통령의 주장에 대해 WSJ는 “단기간 수출 활성화엔 성과가 있었지만, 그 여파로 임금이 하락하고 식료품 가격이 오르면서 터키 국민이 대가를 치러야 했다”고 지적했다. 터키 경제학자 우구르 구르세스는 “그(에르도안 대통령)의 생각엔 쉬울지 몰라도, 일반 사람에겐 쉽지 않다”면서 “그의 정책은 인플레이션으로 모든 이들의 삶을 파괴하고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