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 유럽 대사들이 28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한목소리로 규탄하고 나섰다. 이들은 한국 정부에게도 러시아를 제재하는 국제적 움직임에 동참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마리아 카스티요 주한유럽대사와 EU 25개 회원국 주한 대사들은 이날 드미트로 포노마렌코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와 함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이 성명에서 이들은 “우리는 지금 유럽에서 전쟁의 참혹한 현실을 목격하고 있다”며 “러시아 연방군의 부당한 침공을 가능한 한 가장 강력한 표현으로 규탄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이 한 주권국가와 국제 규범에 대한 러시아 연방의 전례 없는 공격에 대응하는 데 있어 우크라이나와 국제사회와 함께할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
이어 “러시아의 과거 및 현재의 행동은 우크라이나나 유럽만의 문제가 아니”라며 “국제법의 기본 원칙과 유엔 헌장, 규범에 기반한 질서 및 국제 관계의 기본 원칙을 위반하는 것은 대한민국을 비롯해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라고 했다. 그러면서 “국제 사회는 계속해서 단호하게 단결할 것이며, 러시아의 불법 행동에 대해 막대한 결과와 대가를 치르도록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했다.
한국 정부를 향해서는 “우리는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대한민국이 무력도발을 억제하고 평화적 해결책을 보장하기 위한 경제제재를 비롯해 러시아의 군사 행동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을 지지하고 동참하기로 한 점을 환영한다”면서 “대한민국 정부도 이러한 전례 없는 전 세계적인 도전 앞에서 국제사회와 우크라이나의 편에 서줄 것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성명은 최근 영국, 일본 등이 미국의 대러 제재에 독자 제재 등으로 호응하는 가운데 한국만 미온적인 태도를 보여 국제적 비판을 받는 때 나온 것이다. 한국에 대사관이 없는 룩셈부르크와 몰타는 이날 성명에서 빠졌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4일 국제 사회의 대러 제재에 동참하겠다는 뜻을 밝혔으나 이것이 독자 제재를 검토하겠다는 의미는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그러나 이에 대해 한국이 제재 동참에 ‘미온적’이라는 국제 사회 비판이 일자 이날 청와대 내부 참모 회의에서 “러시아 국제 제재 동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대응 방안을 확실히 마련해 달라”며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했다.
아래는 성명서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