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가 미·중 갈등으로 확대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미국이 러시아와 거래하는 중국 기업에 대해 제재 가능성을 언급하자 중국이 “중국 기업의 권익을 지키기 위해 모든 조처를 할 것”이라고 반발했다.
지나 러몬도 미 상무장관은 8일(현지 시각) 미 뉴욕타임스(NYT) 인터뷰에서 러시아에 반도체와 첨단 기술 수출을 금지한 제재에 동참하지 않는 중국 기업에 대해 “문을 닫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강하게 제재해서 사업을 하지 못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미국은 중국이 러시아를 직간접적으로 지원하고 나설 경우, 서방 진영의 제재가 약화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미국은 특히 한국 기업이 생산한 반도체가 중국에서 러시아로 수출될 가능성에 대해서도 우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배경하에 니컬러스 번스 주중 미국 대사는 중국의 주요 한국 기업 대표들에게 면담을 하고 싶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미국의 이런 움직임에 강력히 반발했다. 자오리젠(趙立堅)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9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미국은 우크라이나 문제와 러시아와의 관계를 처리하면서 중국의 우려를 엄정하고 진지하게 다뤄야 하며 어떤 방식으로든 중국의 이익을 해쳐선 안 된다”고 경고했다. 또 “중국 기업과 개인의 합법적 권익을 지키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처를 할 것”이라고도 했다.
미국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중국에 대(對) 러시아 제재에 참여하라고 압박해왔다. 러시아와의 관계를 중시해온 중국은 “제재는 해결 방법이 아니다”라고 대응해왔다.
우크라이나 사태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중국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인도주의 지원을 시작했다. 여기엔 미국을 비롯한 서구사회가 “중국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에서 무책임하게 행동한다”는 비판을 피하려는 의도도 담겨 있다.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지난 7일 우크라이나에 대한 인도주의 지원 의사를 밝혔고 중국 외교부는 9일 중국 홍십자사(한국의 적십자사)가 우크라이나의 요청에 따라 식품과 생필품 등을 포함해 500만위안(약 9억5000만원) 상당의 원조 물자를 제공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