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길에 방치돼 있는 러시아 병사의 시신. /로이터 연합뉴스

러시아 극동 몽골 접경 지역인 부랴트 공화국. 지난 28일(현지 시각) 이곳 수도 울란우데에서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투입됐다가 사망한 병사 4명의 장례식이 열렸다. 모두 이 지역 출신으로 고향에서 6400㎞나 떨어진 키이우 전장에서 세상을 떠났다.

그중 한 명인 불라트 오도에프는 지난 15일 숨졌다. 그의 참전은 스스로 원한 게 아니었다. 유족은 “오도에프는 그저 동료들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으려고 전쟁에 나섰다”며 “가족은 (전쟁에 대한) 정부 당국 생각과 달랐지만 그렇다고 우리가 무얼 할 수 있겠나”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혼란스럽다. 이 유혈 사태를 끝내야 한다. 청년들이 죽고 있다”고 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30일 이들의 이야기를 전하며 우크라이나 전쟁에 투입된 러시아 병사 중 다수가 벽지의 가난한 소수민족 출신이라고 보도했다. 부랴트 공화국의 경우 러시아에서 가장 외지고 빈곤한 지역에 속한다. 주민들의 월평균 급여가 4만4000루블(약 62만원)에 불과할 정도다.

부랴트 지역 언론 루디 바이칼라에 따르면 현재까지 집계된 이 지역 출신 전사자는 45명이다. 신원이 확인된 경우만으로, 실제로는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몽골과 국경을 접한 또 다른 벽지 투바공화국에서는 96명이 전사했다. 산악지대의 다게스탄공화국에서 역시 최소 130명의 병사가 사망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들 271명은 당국이 공식적으로 밝힌 전사 군인 1351명의 20%에 해당한다.

러시아 군사 전문가 파벨 루진은 벽지 출신 병사들이 전쟁에 동원돼 희생당하는 데는 냉혹한 이유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불행하게도 보통의 러시아인은 모스크바나 상트페테르부르크 출신의 푸른 눈 병사들이 사망했을 때와 비교해, 부랴트나 다게스탄 병사들의 죽음에 신경을 덜 쓴다”고 말했다. 군사작전을 기획하는 간부들도 이런 점을 잘 알기 때문에, 다른 부대를 보내지 않는 위험 임무에 소수 민족 출신을 투입한다는 것이다.

병사들의 희생이 계속되면서 부랴트에서는 정부에 항거하는 움직임도 일어나고 있다. 부랴트를 지역구로 둔 뱌체슬라브 마르하에프 국가두마 의원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겨냥해 “가장 가까운 우리 이웃과 전면전을 벌인다는 계획을 숨겼다”고 비난했다.

타지역에 거주하는 부랴트 출신자들 사이에서도 전쟁 반대를 외치는 목소리가 나온다. 일부는 ‘전쟁에 반대하는 부랴트인들’이라는 반전 캠페인을 벌였고 한 예술가는 “우리는 우리와 상관없는 전쟁에서 죽어가고 있다고 느낀다”고 호소했다. 전쟁에 참여한 아들이 우크라이나에서 포로로 잡혔다는 소식을 들은 가족의 1인 반전 시위도 등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