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1일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만찬 메뉴./연합뉴스

보수 성향의 일본 매체 산케이신문이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이번 한미정상회담 만찬에는 ‘반일(反日) 메뉴’가 없었다고 평가했다. 앞서 일본은 2017년 한미정상회담 만찬 메뉴 가운데 ‘독도새우’를 두고 반일 메뉴라며 반발한 바 있다.

21일 산케이신문은 ‘만찬요리는 한미 공동연출...반일 메뉴 없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한미일 협력을 중시하는 윤석열 정권의 손님 접대는 매우 상식적이었다”고 전했다.

대변인실에 따르면 이번 한미 정상 공식 만찬 테이블에는 팔도 산채비빔밥과 두부 완자탕, 미국산 소갈비 양념구이 등이 올라왔다. 디저트로는 쌀케익, 미국산 견과류와 오렌지 젤리, 국내산 산딸기, 배 등이 나왔고, 만찬주는 미국 캘리포니아 나파밸리의 한국인 소유 와이너리 ‘다나 에스테이트’에서 생산된 레드와인 ‘바소’가 올랐다.

산케이신문은 “미국산 소고기를 한국식으로 양념한 갈비구이, 미국 캘리포니아주 나파밸리에서 한국인이 운영하는 와이너리의 와인이 나오는 등 한미 간 ‘공연’이 연출됐다”고 보도했다. 이어 “한국산 송이죽, 산채비빔밥 외에 미국산 견과류, 오렌지로 만들어진 디저트와 한국에서 식후에 즐겨 마시는 매실주스도 나왔다”며 “청와대는 ‘먼길을 오느라 고생한 미국 대통령의 피로회복을 위해 준비했다’고 설명했다”고 했다.

2017년 문재인 전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대통령과의 만찬 테이블에 올랐던 독도새우 국빈만찬/조선DB

그러면서 “한국의 문재인 전 정권은 2017년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방한 때 만찬에 한국이 불법 점거하는 ‘다케시마’의 한국명인 ‘독도’를 따서 이름 붙인 새우 요리를 내놓아 일본의 반발을 부른 바 있다”고 전했다.

앞서 일본은 지난 2017년 11월 문재인 전 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의 만찬 메뉴에 ‘독도 새우’를 넣은 복주머니 잡채가 나와 공개적으로 불쾌감을 드러낸 바 있다. 당시 일본 정부는 외무성, 주한대사관 등 다양한 외교 채널을 통해 한국에 항의했다. 또 정부 대변인인 관방장관까지 공개적으로 나서 “북한 문제에 한‧미‧일의 연대 강화가 요구되는 가운데 밀접한 연대에 악영향을 끼치는 듯한 움직임은 피할 필요가 있다”며 문제 삼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