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곡물 운송을 위한 조정센터를 설립하기로 합의하면서 이르면 내주 협상이 타결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13일(현지 시각)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튀르키예(터키) 이스탄불에서 우크라이나 곡물 운송과 관련해 열린 러시아·튀르키예·우크라이나·유엔 대표들의 4자 협상 결과, 대표단은 이스탄불에 흑해 항로의 안전보장을 위한 조정센터를 만들기로 합의했다.
훌루시 아카르 튀르키예 국방부 장관은 “다음 주에 협정이 체결될 것”이라며 “튀르키예가 운송 중인 곡물의 안전을 보장할 것이며 공동으로 곡물 수출입 항구의 화물을 검사할 것”이라고 했다. 대표단은 세부 사항을 논의하기 위해 다음 주 튀르키예에서 협상을 재개하기로 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흑해를 통해 우크라이나 곡물을 수출하기 위한 중대한 진전이 있었다”면서도 “여전히 모든 협상 주체의 호의와 헌신이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이번 협상은 흑해 봉쇄로 우크라이나산 곡물 수출이 막힌 3월 이후 처음으로 열린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의 직접 회담이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대표단이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고 보고했다. 앞으로 며칠 안에 유엔 사무총장과 세부 사항에 대해 합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안드리 예르막 우크라이나 대통령 비서실장은 “공동 조정센터는 흑해에서 안전한 항해를 위해 감시와 조정을 수행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침공 이후 주요 곡물 수출 통로였던 흑해 항구를 이용할 수 없게 됐다. 이 때문에 곡물 수출량은 3분의 1 수준으로 줄었고, 세계 식량 가격은 빠르게 치솟았다. 수백만 명이 기아 위기에 처했으며, 아프리카와 중동 등 개발도상국을 비롯해 전 세계 곳곳에서 식량 안보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