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오미크론 하위계통 변이 BA.2.75의 별칭 '켄타우로스'는 한 트위터 유저가 처음 명명한 것이다. 그 주인공인 하비에르 오스테일 트위터 게시물 갈무리. ⓒ 뉴스1

일명 ‘켄타우로스’라고 불리는 코로나 오미크론 새 변이 바이러스 BA.2.75의 이름을 지은 것은 평범한 트위터 이용자라고 워싱턴포스트(WP)가 14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름을 지은 이는 트위터로 코로나 관련 소식을 공유해온 사비에르 오스탈레. 그는 지난 1일 “내가 막 BA.2.75 변이에 은하의 이름을 붙였다. 새 이름은 켄타우로스”라는 트윗을 올렸다. 켄타우로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반인반마로, 은하의 이름이기도 하다.

해당 트윗 이후 언론은 BA.2.75 관련 소식을 보도하며 켄타우로스로 지칭했다. 구글에서도 켄타우로스 이름이 급증했다.

켄타우로스가 새 변이 바이러스의 ‘공식 명칭’은 아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관심 변이나 우려 변이에만 그리스 알파벳으로 된 이름을 붙인다. BA.2.75는 아직 확산 초기로 ‘주시 중인 변이’에 불과하다. BA.4, BA.5와 같이 오미크론(BA.1) 하위 계통 변이로만 분류돼 있다.

일각에서는 전문가가 아닌 트위터 사용자가 지은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는 게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다만 연이어 변이 바이러스가 나오면서 피로감이 대중들에게 퍼져있는 가운데, 익숙한 명칭을 사용하는 게 경각심을 줄 수 있다는 반박도 나온다.

WHO는 지난해 관심을 가져야 할 변이에 델타와 오미크론 등 그리스 문자를 부여하기로 했다. 변이가 처음 발견된 지역의 명칭을 활용할 경우 부정적 편견이 생길 수 있는 점을 우려한 것이다. 일반인이 부르기 쉬워야 한다는 점도 고려됐다.

당초 조류와 그리스 신의 이름 등 다양한 방안이 검토됐지만, 상표권 침해 가능성 등 여러 문제가 있었다고 한다. 그리스 문자를 놓고도 전체 24개 뿐인 문자를 다 사용하면 이후에는 어떻게 하느냐는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다.

분자전염병학자로 당시 논의에 참여했던 에마 호드크로프트 박사는 “적어도 켄타우로스는 지명이 아니고, 누구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며 오해를 일으킬 가능성도 없다. 별자리와 헷갈리는 사람도 없다”고 했다. 다만 그는 “다음에는 운이 따르지 않을 수도 있다”며 “변이로 인해 팬데믹의 새 국면에 진입한 만큼 하위 변이의 명명 체계를 다시 논의할 시점인 것 같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