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 시내 중심가의 야경. /조선DB

일본에서 자국민들의 영어 실력이 세계 평균에서 많이 뒤쳐져있다며 일본인 성향에 맞는 교육 방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시사주간지 뉴스위크 일본판은 23일 일본인의 영어 수준이 떨어지는 이유에 대해 분석했다. 뉴스위크는 일본인의 토플(TOEFL) 평균 점수가 한국, 중국, 대만보다 10점 이상 낮다고 했다.

토플 점수 추이를 보면 2006년 세계 평균은 79점이었다. 2020년에는 87점까지 올랐다. 영어가 상대적으로 서투른 아시아 국가들의 실력도 상승했다. 2020년 국가별 평균 점수를 보면, 한국은 86점, 중국은 87점, 대만은 85점이다. 세계 평균과 비슷한 수치다. 반면 일본의 평균 점수는 73점으로 인접 국가에 비해 10점 이상 떨어진다.

뉴스위크는 “한국도 20년 전에는 일본처럼 영어를 잘 못하는 나라로 알려져 있었는데, 지금은 홍콩에 버금갈 정도로 아시아에서 영어를 잘 하는 나라가 됐다”며 “같은 시기 일본은 세계 수준과 격차가 여전히 큰 상황에 머무르고 있다”고 했다.

일본인의 영어 능력이 나아지지 않는 이유로는 잘못된 교육방식을 뉴스위크는 꼽았다. 뉴스위크는 “한국은 1997년부터 영어 교육 개혁에 착수하면서 학습 목표를 높여잡았다. 영어 교육을 시작하는 연령이 빨라지고 학습 시간이 늘어났으며, 내용도 고도화되면서 영어를 잘 하는 학생이 늘었다”고 했다.

뉴스위크는 “일본의 영어 교육은 ‘회화’에 지나치게 무게를 두면 안 된다며”며 “회화 실력은 중요하지만 일본인은 한국인이나 중국인에 비해 조심스러운 편이기 때문에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는 말하기 방식은 일본인에게 잘 맞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면서 좋아하는 작가의 원서나 흥미를 가진 분야의 웹사이트, 영어 블로그 읽기 훈련을 도입하는 등 ‘다독’으로 영어 실력을 키워야 한다고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