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마뉘엘 마크롱(오른쪽) 프랑스 대통령이 5일 파리 엘리제궁에서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와 에너지 위기에 대해 화상 회담을 하고 있다. / AP 연합뉴스

러시아의 ‘에너지 무기화’로 올겨울 극심한 에너지난이 예상되는 독일과 프랑스가 전기와 가스를 나눠 쓰기로 했다. 유럽연합(EU)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역대 최고 수준의 경제제재를 가하자, 러시아는 독일과 프랑스 등 EU 회원국에 대해 자국산 천연가스 공급을 대폭 줄여 보복에 나선 상태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5일(현지 시각)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와 화상 회담 후 “우리 두 나라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위기를 이겨내기 위해 전기와 가스를 함께 나누어 쓰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그는 “필요 시 프랑스는 독일에 가스를, 독일은 프랑스로 전기를 보내는 방식”이라며 “조만간 독일에 가스를 보내기 위한 준비도 완료될 것”이라고 밝혔다.

두 나라 모두 에너지 사정이 팍팍한 탓에 실제로 나눌 수 있는 전기와 가스의 양은 전체 필요량의 2% 수준으로 많지 않다. 하지만, 양국의 겨울철 에너지 소비 패턴이 크게 달라 서로 ‘보완재’가 된다. 유럽 최대 원전 보유국인 프랑스는 일 년 중 겨울에만 전기를 수입해 왔다. 전기 난방을 하는 가정이 42%에 달해 겨울철 전기 수요가 폭증하기 때문이다.

"에너지값 내려라" 유럽서 연일 시위 - 5일(현지 시각) 독일 라이프치히에서 급등하는 생활 물가에 항의하는 시민들이‘당신들의 이익을 위해 얼어 죽지는 않을 것’이라는 피켓을 들고 시위를 벌이고 있다. 최근 러시아가 천연가스 공급을 대폭 줄이면서 독일에서는 에너지와 식료품 등의 가격이 연일 치솟아 가계의 고통이 점점 커지고 있다. /EPA 연합뉴스

독일은 전체 가정의 50% 이상이 가스로 난방을 해 가스 수요가 급증한다. 프랑스와 독일 양국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는 상황으로, 프랑스 일간 르피가로는 이 같은 에너지 협력에 대해 “갑작스러운 한파로 일일 에너지 사용량이 급증, 일시적 공급 부족이 발생하는 상황에 대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프랑스는 전체 56개 원전 중 32개가 유지 보수를 위해 가동 중단 상태다. 프랑스의 전력 수출이 줄어 유럽의 에너지난이 가중됐다는 해석까지 나왔다. 올겨울까지 수리를 끝내고 모두 정상 가동할 계획이지만, 겨울철 전력 수요 급증을 감당 못 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반면 가스는 이미 올겨울 필요량의 90%를 확보, 독일에 비해 여유가 있다. 프랑스 정부는 지난 7월 “독일이 요청하면 총 20TWh(테라와트시) 용량의 가스를 지원할 수 있다”고 밝혔다. 글로벌 통계 사이트 월드오미터에 따르면 독일은 2021년 기준 약 536TWh의 전력을 생산해 이 중 약 16%를 프랑스 등 인접국에 수출했다.

유럽의 에너지 위기가 고조되는 와중에 중동과 세계 주요 산유국 모임인 OPEC+(오펙 플러스)는 이날 “다음 달부터 원유 공급을 하루 10만배럴씩 줄이겠다”고 발표했다. 9월부터 하루 10만배럴씩 원유 공급을 늘리기로 했던 지난달 3일 결정을 한 달 만에 되돌린 것이다. 블룸버그 등 외신은 “원유 생산량을 늘려달라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지속적인 요구와 반대로 가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OPEC+는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로 국제 유가가 급격히 하락함에 따른 조치”라고 설명했다. 지난 6월 배럴당 120달러를 넘었던 국제 유가는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 전 수준인 80달러대로 내려왔다. OPEC+ 회원국의 하루 원유 생산량은 1000만배럴 안팎이다.

한편 BBC는 이날 “리즈 트러스 신임 영국 총리가 10월 예정된 전기·가스 요금 80% 인상안을 취소하고, 요금을 전격 동결하는 안을 추진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로 인한 에너지 공급 업체의 손실은 정부의 차입금(빚)으로 메꾸고, 향후 10~15년에 걸쳐 에너지 세금으로 회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통신은 “영국 국내총생산(GDP)의 5%에 달하는 1000억파운드(약 157조원)가 소요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