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반년 넘게 이어진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급격한 금리 인상에도 미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식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 고용통계청은 13일 오전(현지시각)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8.2% 올랐다고 발표했다. 전월 대비로는 0.4% 올랐다. 올해 내내 이어진 ‘미 40년만의 최악 인플레이션’ 추세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얘기다. 9월 CPI 상승률의 당초 시장 예상치는 8.1%였는데 시장 전망치를 상회했다.
앞서 12일 발표된 9월 생산자물가(PPI·도매물가) 역시 전년 동월 대비 8.5% 상승, 시장 예측치를 상회했다. 특히 전월 대비 PPI 상승률은 최근 3개월만에 플러스로 돌아섰다.
‘인플레 파이터’를 자처한 미 연방준비제도는 이 9월 CPI를 근거로 11월 1~2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또 0.75%포인트의 금리 인상을 단행, ‘4연속 자이언트 스텝’을 밟을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현재 최고 3.25%인 미 기준금리가 단숨에 4%를 돌파하게 되며, 각국 중앙은행은 환율 방어 등을 위해 또다시 급격한 금리 인상에 연쇄적으로 동참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미 세계 경제기구와 각 정부가 ‘킹달러’와 긴축 위기 속에 내년 경기 침체를 확실시하는 데 쐐기를 박을 전망이다.
13일 CPI 에 따른 연준 긴축 지속 전망에 따라 세계 자본시장의 투자 심리가 악화되면서, 이미 약세장에 들어선 뉴욕증시를 비롯해 각국 증시가 또 흔들릴 가능성이 크다. 미 최대 은행 JP모건은 “지난달 8월 CPI가 예상을 넘는 8.3%로 발표된 당일 대기업 위주 S&P500 지수가 4.3% 폭락했는데, 이번에도 5% 안팎 증시 폭락이 또 벌어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특히 이번 CPI는 올해 미 최대 정치 이벤트인 11월8일 중간선거 이전에 마지막으로 나오는 물가지표다. 사실상 중간선거에 제출하는 바이든 정부의 마지막 경제 성적표로, 미 유권자 표심에 큰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해 말부터 급등하는 물가를 제대로 잡지 못해 야당으로부터 ‘경제 심판론’ 공격을 받아왔다. 연준의 잇따른 금리 인상으로 침체 우려가 커지고 민생 고통이 커지는데도 ‘바이든 정부가 물가 안정에 결국 실패했다’는 인식이 커질 경우, 미 의회와 각 주정부 선거에서 여당 후보들이 고전할 수 있다.
집권 2년차인 바이든 정부와 민주당이 중간선거 결과 여소야대 입지에 놓일 경우 국정 동력이 크게 약화되고 정국 불안이 커질 수 있다. 러시아나 북한의 핵공격 위협 등 각종 대외 외교안보 현안에 바이든 정부가 전념할 여력이 감소하면서 자유진영 리더인 미국의 영향력도 흔들릴 우려가 있다.